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지식재산경영
- 최적화문제
- 품질경영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공대생의경제공부
- 일일경제공부
- 메타휴리스틱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인공지능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지적재산권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언어적지식
- 국어국문학
- 통계적품질관리
- 최적화기법
- 공대생의문과공부
- 정보시스템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특허
- 컴퓨터공학
- 통계학
- 공대생의전공공부
- 공대생의연구공부
- 경제용어
- 고전방법론
- 산업공학
- 자연어처리
- 영어영문학
- 언어학
- Today
- Total
목록경제용어 (107)
Fintecuriosity

오늘 포스트는 무역에서 쓰이는 경제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려고 합니다. 외국에서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상품들에는 각각 세금이 붙게 됩니다. 이를 '관세'라고 부릅니다. 즉,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하여 국경을 넘어서 출입하는 물품에 대해 부과되는 조세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관세에는 여러 가지 종류들이 있습니다. '탄력관세'는 정부가 관세율을 인상하거나 인하할 수 있는 권한을 갖도록 한 제도를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관세에 탄력성을 부여하여 유동적으로 가격을 올리거나 내리거나 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원래 국가의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에는 국회에서 제정된 법정 관세율에 따라야 하지만 급격하게 변동하는 국내외적 여건 변동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권한의 일부를 정부에 변동하는 국내외적..

'모디노믹스(Modinomics)'는 청년 일자리 창출을 비롯한 외국인의 투자를 기반으로 한 인프라 확충 및 작은 정부를 강조하는 2014년 5월 인도의 총리인 모디가 편 경제정책에 시작된 경제 용어입니다. 마지막으로 모디노믹스(Modinomics)에 관련된 뉴스들을 아래에 첨부하였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모디노믹스|jobsN [BY jobsN 입사가이드] ◇모디노믹스 인도의 총리 나렌드라 모디의 경제 정책을 말한다. 모디는 2014년 5... m.post.naver.com What is Modinomics? Leif Eskesen, Chief Economist for India and ASEAN at HSBC, describes Indian opposition leader Naren..

'톱니 효과'는 한번 올라간 소비 수준이 쉽게 내려가지 않는 현상을 뜻합니다. '톱니 효과'는 경제학자 듀젠베리(J.S Duesenberry)가 정의한 개념으로, 소득이 높았을 때 궅어진 소비 성향이 소득이 낮아져도 변하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현재의 소비 패턴이 과거에 했던 높은 수준의 소비 패턴과 맞물려 있어, 소비가 경기 후퇴를 억제하는 톱니 역할을 한다는 의미에서 '톱니 효과 (Ratchet Effect)'라고 불립니다. 또한 다른 이름으로는 관성효과라고도 불리는데, 관성효과가 작용하면 소득이 감소 국면에 들어가는 경기 후퇴 시기에 소비 성향이 일시에 상승하기도 합니다. 제임스 듀젠베리 미국의 경제학자. 저서 《소득·저축·소비자 행동의 이론》에서 소비가 단지 개인의 소득액뿐만 아니라 사회..

'엥겔지수'는 저소득 가계일수록 총지출 가운데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고소득 가계일수록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다는 엥겔의 법칙에서 유래한 것을 의미합니다. 가계의 총 소비지출액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아래의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1857년 독일의 통계학자 엥겔이 가계 지출을 조사한 결과 저소득 가정일수록 총 소비자지출액 중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고소득 가정일수록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다는 법칙을 발견하여, 이를 엥겔의 법칙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엥겔지수에 따른 구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엥겔지수가 0.5 이상일 경우 후진국, 0.3~0.5이면 개발도상국, 0.3이하일 때 선진국으로 구분합니다. 식료품은 생존을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에 어느..

'출구전략'은 위기 때 풀어놓은 각종 경제 완화 정책을 정부가 다시 거두어들이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출구전략은 원래 군사용어로 쓰이던 말로,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전쟁을 끝내는 전략을 의미했습니다. 그런데 경제용어로 사용되면서 경기 침체기에 경기를 부양하기 위하여 취했던 각종 완화 정책들을 경제에 부작용을 남기지 않게 하면서 서서히 거두어들이는 전략으로 의미가 변화되었습니다. 조금 더 쉽게 의미를 요약하자면 경기 침체기에 동원되었던 경기 부양 정책을 다시 정상 상태로 돌려놓는 정책 방안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경제가 불황으로 들어서며 많은 나라들이 국가 부도의 위기까지 가며, 많은 기업들이 파산하였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불경기와 나라가 파..

'경제 고통지수' 소비자 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값을 의미합니다. 미국 경제학자 아더 오쿤(A. Okun)이 고안한 것으로 일정 기간 동안 소비자 물가 상승률(CPI/Consumer Price Index)과 실업률(Unemployment Rate)의 합으로 정의 하나, 소득 증가율이나 실질 국내 총생산을 감안해 구하기도 합니다. 국민들이 실제 느끼는 경제적 생활의 고통을 계량화해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경제 고통지수가 높다는 것은 실업률이나 물가의 상승이 높아져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도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가가 상승할 경우 국민들은 전보다 더 많은 돈을 지출해야 하며, 직업을 갖지 못한 사람이 늘어나면 당장 소득이 없기 때문에 국민이 느끼는 고통은 커지게 됩니다. ex) 우..

'베블런 효과'는 제품의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과시욕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을 뜻합니다. '베블런 효과'는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사회평론가인 베블런(Thorstein Bunde Veblen)이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자각 없이 행해진다"라고 말한 데서 유래하였습니다. 소스타인 베블런 - 나무위키 "분석의 끝에서, 현명한 영리행위란 결국 사려깊은 깽판놓기임이 드러난다""All business sagacity reduces itself in the last analysis to judicious use of sabotage." - "평화의 본질과 그 존속기간에 관한 연구"(1917) �� namu.wiki 일반적..

'그림자 금융'은 은행과 비슷한 기능을 하면서도 은행과 같은 엄격한 건전성 규제를 받지 않는 금융기관과의 신용중개 등의 거래를 뜻합니다. '그림자 금융'에서 그림자는 은행 대출을 통해 돈이 유통되는 일반적 금융시장과 다르게 투자대상의 구조가 복잡하여 손익이 투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이 경제 용어는 미국 채권 운용 회사 핌코(PIMCO / Pacific Investment Management Company)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폴 맥컬리(Paul McCulley)가 2007년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이 주최한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사용하면서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핌코 1971년 ‘채권왕’으로 불린 빌 그로스가 설립한 세계 최대 채권운용회사. 초기에 자산규모 1200만달러(약 1..

'공유경제' 란 말 혹시 들어보셨나요? 아마 거의 모든 사람들이 '공유경제' 란 말은 살면서 한 번씩 들어보았거나 이에 관련된 서비스 또한 한 번쯤은 이용해 보았을 것입니다. '공유경제' 란 소유의 개념에서 벗어나 물품, 지식, 경험과 자원 등을 서로 대여 및 차용해서 쓰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제활동입니다. 공유경제 및 셰어링이라는 말이 보이면 관련 서비스들이 속속 등장하였습니다. 여기서 '공유하다'라는 단어의 의미는 바로 알 수 있지만 그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배경에 대해서는 자세히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유 경제란 단어는 2008년 하버드 대학교의 로렌스 레지 교수가 집필한 그의 저서 [리믹스]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립스틱 효과'라는 말을 들으면 제일 먼저 연관되는 단어가 무엇이 있을까요? 쇼핑과 소비라는 단어가 제일 먼저 립스틱이랑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아름다움을 위해 쓰는 용품이라는 것도 있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립스틱을 이용하여 자신의 가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고자 사용합니다. '립스틱효과'는 불황기에 립스틱 같은 저가 상품의 매출이 증가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경기 불황일 때 저가 상품이 잘 팔리는 현상을 의미하며 저가 제품 선호 추세라고도 불립니다. 립스틱 효과는 1930년 대공황 때에 산업별 매출 통계를 근거로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본래 립스틱만 발라도 분위기가 살아나는 효과를 얻는다는 뜻이며, 경기가 침체되어 큰 소비를 하지는 못하지만 저렴한 가격으로 효용을 주는 상품의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