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공지능
- 통계학
- 언어학
- 공대생의연구공부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국어국문학
- 메타휴리스틱
- 특허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공대생의경제공부
- 자연어처리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공대생의전공공부
- 일일경제공부
- 산업공학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정보시스템
- 경제용어
- 최적화기법
- 고전방법론
- 언어적지식
- 통계적품질관리
- 영어영문학
- 품질경영
- 최적화문제
- 컴퓨터공학
- 공대생의문과공부
- 지적재산권
- 지식재산경영
- Today
- Total
목록전기전자공학 (9)
Fintecuriosity

이번 글의 내용은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신창환 교수님의 "반도 채 몰라도 들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이야기" 강의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반도체 핵심인 "결정재료의 면/방향 표기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밀러와 골뱅이 소면" 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다음으로 설명할 것은 대괄호와 뾰족한 브래킷 (bracket) 괄호가 있습니다. 이 두 개의 notation은 면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들입니다. 따라서 가장 앞면의 면의 방향을 보면,이 면의 방향은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나오는 벡터 (vector) 를 활용하여 표시해줍니다.그래서 이 앞면의 경우는 1, 그 다음에 y 랑 z 축 방향으로 0랑 0이니까 1 0 0 이라고 표..

이번 글의 내용은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신창환 교수님의 "반도 채 몰라도 들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이야기" 강의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반도체 핵심 재료인 "실리콘(Si)의 구조"에 대해서 개괄적인 설명과 역사를 통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실리콘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따라서 이제 miller indices의 표기 방식 및 계산 방법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위의 그림에는 유닛셀 (unit cell) 이 점선으로 나타나 있습니다.이 unit cell의 앞쪽 면에 대해 이야기해봅시다. 우리는 이 앞쪽 면을 같이 보고 있기 때문에 앞면이라고 칭해도 상호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습니다.하지만 같은 장소에..

이번 글의 내용은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신창환 교수님의 "반도 채 몰라도 들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이야기" 강의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반도체 핵심 재료인 "실리콘(Si)의 구조"에 대해서 개괄적인 설명과 역사를 통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실리콘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이 슬라이드에서 나오는 숫자 값들은 꼭 외워주시길 바랍니다. 먼저, 1cm^3라고 하는 부피 안에 몇 개의 실리콘 원소들이 들어있는지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다이아몬드 구조를 한 번 더 그림을 그려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다이아몬드 구조에는 실리콘원소들이 꼭지점에 하나씩 위치해 있습니다. 뒤 쪽은 점선으로 표현하겠..

이번 글의 내용은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신창환 교수님의 "반도 채 몰라도 들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이야기" 강의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반도체 핵심 재료인 "실리콘(Si)의 구조"에 대해서 개괄적인 설명과 역사를 통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실리콘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우리가 반도체 집적회로에서 ‘전류가 흐른다’ 라고 표현할 때 최외곽을 돌고 있는 4개의 전자가 그 전류를 흘려주는 주인공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실리콘(Si)은 4족 원소이고 최외곽에 있는 4개의 전자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한 번 더 실리콘 원소 최외곽을 돌고 있는 전자 4개가 중요하다고 했는데요..

이번 글의 내용은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신창환 교수님의 "반도 채 몰라도 들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이야기" 강의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반도체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개괄적인 설명과 역사를 통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반도체 핵심 재료인 실리콘(Si)의 구조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쪽 표를 보시면 크게 폴리크리스탈린(poly-crystalline), 아몰퍼스(amorphous), 크리스탈린(crystalline)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Crystalline 실리콘(Si) 재료의 경우에는 실리콘(Si) 원자들이 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amorphous 실리콘(Si) 의 경우에는 실리콘(Si) 원자들이 아무 규..

이번 글의 내용은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신창환 교수님의 "반도 채 몰라도 들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이야기" 강의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Moore's law(무어의 법칙)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였습니다. 무어의 법칙에서는 24개월 마다 같은 면적에 들어가는 트랜지스터의 총 개수가 2배씩 늘어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트랜지스터가 늘어나면서 반도체의 기술도 빠르게 발전해 나가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반도체의 기초에 대하여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지난 포스트들에서는 반도체의 역사에 대하여 개괄적인 내용들을 다루었습니다. 하지만 정작 제일 중요한 내용인 ‘반도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는 답을 하지 않았습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반도체는 매번 언급..

이번 글의 내용은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신창환 교수님의 "반도 채 몰라도 들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이야기" 강의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반도체의 직접회로 소재를 게르마늄으로 개발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실리콘 소재 기반으로 발전된 역사의 일부분을 소개하였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반도체의 웨이퍼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무어의 법칙(Moore's Law)에 대하여 설명하려고 합니다. 골든 무어는 매 2년 혹은 18 에서 24개월 마다 같은 면적에 들어가는트랜지스터의 총 개수가 2배씩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실제로 지난 반세기 동안 반도체 기술은 무어의 법칙을 따라서 눈부시게 발전해 왔습니다. 그 덕..

이번 글의 내용은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신창환 교수님의 "반도 채 몰라도 들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이야기" 강의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반도체의 크기를 줄이는 기술 중점과 반도체 개발회사들이 채널의 길이를 짧게 하여 전자가 이동하는 거리를 줄이는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반도체의 역사에 대한 부분을 잠시 언급하는 것을 기점으로 흐름을 이어가겠습니다. 과거에 1958년 시점을 기준을 시점을 돌아가보겠습니다. 당시 texas instruments에 재직 중이시던 잭 킬비 박사(Jack Kilby)님은 반도체 집적회로에 대해서 연구를 하셨는데 당시에 아래와 같은 말씀을 하셨습니다. 게르마늄ge이라고..

이번 글의 내용 중 일부는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신창환 교수님의 "반도 채 몰라도 들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이야기" 강의와 [삼성반도체 이야기]의 포스트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반도체' 란 무엇일까요?? 반도체는 생각보다 우리의 생활에서 밀접하게 접할 수 있고 많은 곳에 쓰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컴퓨터, 스마트폰, 자동차에는 모두 반도체가 탑재(장착)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반도체들이 사용하는 영역들은 일상생활 뿐만 아니라 무궁무진한 곳에 쓰입니다. [반도체/Semiconductor] 의 의미 "반 + 도체 =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 성질" 를 뜻합니다. 도체[Conductor]란, "전기 혹은 열이 잘 흐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