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공대생의경제공부
- 영어영문학
- 경제용어
- 최적화문제
- 인공지능
- 언어학
- 컴퓨터공학
- 자연어처리
- 공대생의연구공부
- 특허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산업공학
- 언어적지식
- 품질경영
- 최적화기법
- 국어국문학
- 정보시스템
- 공대생의문과공부
- 공대생의전공공부
- 메타휴리스틱
- 고전방법론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지적재산권
- 통계학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통계적품질관리
- 지식재산경영
- 일일경제공부
- Today
- Total
목록Computer Science/자료구조 (3)
Fintecuriosity

이번 글의 내용은 '파이썬으로 쉽게 풀어쓴 자료구조 (최영규 & 천인국 지음, 생능출판)'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으며 저의 개인적인 인사이트 또한 추가된 점을 먼저 밝힙니다. 지난 자료구조 포스트에서는 선형적, 비선형적의 자료구조의 알아보았습니다. 일단 위의 사진을 참조하면 왼쪽과 오른쪽의 사진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왼쪽 사진은 C 수업을 수강하면서 들은 자료 사진입니다. 개념적 혼동이 올 수 있기에 책의 기준이 오른쪽이니, 포스트에서는 책의 기준으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양한 자료구조는 배열 구조와 연결된 구조 2가지 방법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많은 알고리즘들은 순환(Recursion)이나 반복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을 할 수 있습니다. 반복과 달리 순환은 어떤 함수가 자기..

이번 글의 내용은 '파이썬으로 쉽게 풀어쓴 자료구조 (최영규 & 천인국 지음, 생능출판)'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으며 저의 개인적인 인사이트 또한 추가된 점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료구조는 컴퓨터 공학에서 전공 필수 과목 및 알고리즘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으로 배워야 하는 분야입니다. 먼저 자료구조는 숫자와 문자와 같은 단순자료와 여러 자료들을 한꺼번에 보관하는 컨테이너와 같은 복합 자료구조로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1. 선형 자료구조 항목들을 순서적으로 나열하여 저장하는 창고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항목들을 접근하는 방법에 따라 다시 세분화가 되는데, 스택이나 큐, 덱은 항목의 접근이 맨 앞(전단)이나 맨 뒤(후단)으로 제한이 됩니다. 리스트는 가장 자유로운 선형 ..

먼저 본 포스트는 SK Planet의 T-academy의 온라인 강의 [기초 알고리즘과 파이썬 코딩]의 내용을 참조하여 제가 이해한 정보와 지식을 위주로 쓰여졌습니다. 참조: 위의 "[기초 알고리즘과 파이썬 코딩]" 의 하이퍼링크를 누르시면 본 강의 페이지로 redirecting 됩니다. 저는 비전공자이지만 IT 기업으로 취직할 기회를 얻게 되어 개발,코딩을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코딩을 처음 배우면서도 느낀 것은 주입식 교육이였습니다. 항상 이 코드는 왜 이렇게 구현해야 하는가? 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했지만 솔직하게 말하자면 현실과 타협하고 구글링을 통하여서 검색을 했기에 깊게 공부를 한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본론으로 넘어가서 "왜 알고리즘이 중요한가"에 대해서 한 번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