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품질경영
- 고전방법론
- 인공지능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지식재산경영
- 공대생의연구공부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공대생의경제공부
- 메타휴리스틱
- 최적화기법
- 언어적지식
- 최적화문제
- 일일경제공부
- 통계적품질관리
- 통계학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영어영문학
- 지적재산권
- 컴퓨터공학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자연어처리
- 언어학
- 공대생의문과공부
- 특허
- 공대생의전공공부
- 국어국문학
- 정보시스템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산업공학
- 경제용어
- Today
- Total
목록경제/경제인물 소개 (5)
Fintecuriosity

이번 글의 내용은 "한 권으로 끝내는 경제학 명저 50" 책을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인구학자이자 경제학자인 토마스 멜서스와 그가 쓴 저서 [인구론]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조금 더 deep하게 [인구론]의 내용과 함축하고 있는 인사이트에 대해서 얘기를 진행해 보려고 합니다. 맬서스는 '인구가 항상 생활물자 수준에 의해 억제된다'라는 사실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2 가지 전제를 달았습니다. 1. 식량은 인간 생존에 필수다. 2. 남녀 간의 성욕은 필연적이며 미래에도 존속한다. 위의 2가지 전제를 통하여 멜서스는 인구와 식량의 증가 차이를 쉽게 설명했습니다. 위의 2 전제는 등비급수적이라는 개념을 규칙으로부터 설명되는 것을 인구론에서 찾아볼 수 있..

이번 글의 내용은 "한 권으로 끝내는 경제학 명저 50" 책을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멜서스는 신기하게도 목사란 직업을 가지고 있었고 인구학자도 같이 겸하고 있었던 경제학자 였습니다. 멜서스는 경제학에서 부정적인 성향을 가진 학자로 정평이 나있었으며, 더불어서 [인구론]이라는 분야로 유명합니다. 결론적으로 중요한 사실은 [인구론]은 인구학에서 파생된 분야이며 경제학에 대한 책은 아닙니다. 경제학적으로 분석을 하는 것을 책에서 볼 수 있지만, 경제학과는 엄연히 다르다고 보면됩니다. 멜서스의 경제학자로서의 행보나 실적을 알고 싶으면 [경제학 원리] 책을 읽으면 됩니다. [경제학 원리] 책에는 맬서스가 경제학자로서 애덤 스미스의 학설을 지지하면서도 자유방임주의나 노동가치에 대해 비판한 내용을 찾..

이번 글의 내용은 "한 권으로 끝내는 경제학 명저 50" 책을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Part 1_(1편)에 이어서 이번 2편 포스트에서는 아래에 기재 되어있는 내용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리카도의 저서 [경제학 및 과세의 원리] 2) 비교생산비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리카도의 대표 저서 [경제학 및 과세의 원리]를 읽어보면 그는 지대, 금, 이윤, 상품 등에 대한 다양한 과세방법과 스미스의 노동가치설에 대한 비판, 멜서스에 대한 비판 등 여러가지 내용들을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리카도가 주장하는 경제학의 가장 핵심은 '분배의 경제학'입니다. ★ 즉, 생산이 늘어나면 국가의 부가 늘어난다는 것입니다. 분배는 경제학에서 굉장히 중요한 문제이자 주제입니다. 예를 들면 실제로 토..

이번 글의 내용은 "한 권으로 끝내는 경제학 명저 50" 책과 '경제배움e' 네이버 포스트'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영국의 경제학자, 유대인계 영국인 상인의 아들로 태어남 ※ 영국 하원의원 역임 1799년 A.스미스의 《국부론 Wealth of Nations》을 읽게 되면서부터 경제학을 배우게 되었다. 지금논쟁( 1809∼1812) 때 잉글랜드은행의 통화정책을 비판함으로써 지금주의자에게 이론적 바탕을 제공하였다. 곡물조례 논쟁(1813∼1815) 때에는 산업자본가 계급의 입장에서 지주적(地主的)인 곡물조례에 반대하는 등 실천적인 면에서 활동하였다. 리카도는 고전학파의 창시자인 스미스 이론을 계승·발전시켜 고전학파의 완성자로 알려져 있다. 1817년 노동..

이번 글의 내용은 "한 권으로 끝내는 경제학 명저 50" 책을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영국의 사회과학자 & 경제학자. 고전파 경제학의 아버지. ※ 글래스고 대학 교수, 총장을 역임 우리가 흔히 경제학 시간에 제일 먼저 접하게 되는 인물은 "경제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애덤 스미스입니다. 하지만 옛날 18세기에는 애덤 스미스는 철학자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그 당시에는 경제학이라는 학문이 아직 발달되지 않았을 뿐더러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애덤 스미스는 원래 글래스고 대학의 철학교수로 알려져 있지만 퇴임 후에는 경제학에서 제일 먼저 배우고 창시라고 불리는 [국부론]을 집필하였습니다. 이 책은 고전파 경제학 뿐만이 아니라 여러 경제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