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인공지능
- 지식재산경영
- 언어적지식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언어학
- 공대생의경제공부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통계학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공대생의연구공부
- 정보시스템
- 영어영문학
- 고전방법론
- 산업공학
- 통계적품질관리
- 품질경영
- 메타휴리스틱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공대생의문과공부
- 최적화문제
- 최적화기법
- 경제용어
- 컴퓨터공학
- 국어국문학
- 공대생의전공공부
- 자연어처리
- 특허
- 지적재산권
- 일일경제공부
- Today
- Total
목록잡생각 창고 (4)
Fintecuriosity

아모레퍼시픽 디지털기술개발Div의 홍성봉님이 Facebook AI에 올린 글을 인용하였습니다. 1.지금 직장인 아모레퍼시픽에서 AI팀을 산하에 운영하고 있고, 이전 직장에서도 AI 전담팀을 운영했었습니다. 제목에 있듯이 완전히 다른 회사에서 두번의 AI 전담팀을 운영해오면서 지속적인 실패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팀의 성과가 나지 않았다라는 관점보다는 조직의 심리적 안정감을 바탕으로 건강하게 성장하는 팀을 만드는데 어려움이 많다라는 의미입니다. 2.기술의 어려움과 전문가 구인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했는데,이는 상대적으로 극복 가능한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 제 동창이자 우리나라 AI의 기둥이라고 생각하는 김정희 현대자동차 상무가 작년에 저에게 해주었던 이야기가 본질을 잘 설명해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공..

A nice little cartoon explaining the scientific publication process. Publishing in computer science is a little different in that the majority of papers are published to conference proceedings and less frequently in journals (long paper are published in journals, but most papers are short conference submissions). Top conferences will typically accept 20% to 30% of submitted papers. So, many pape..

이번 글의 내용은 Mario Klingemann의 트위터 포스트를 번역 및 정리, 그리고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강필성 교수님의 강의를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다른 참조한 논문은 아래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번 학기에 자연어 처리 관련 수업을 수강하면서 이론과 SOTA 모델들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 저의 관심을 끌었던 SOTA 모델은 Open AI에서 공개한 GPT-2 모델이였습니다. 간략하게 GPT-2 모델에 대해서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ngram과 같은 언어모델입니다. 앞의 단어들이 주어지면 그 다음에 나올 단어를 예측합니다. 또한 GPT-2는 15억개 파라미터를 가진 대규모 번역기반 언어모델로, 800만개 텍스트의 데이터셋을 통해 학습하였습니다. 임의의 문장을 입력하면 맥락을 고..

여느 때와 다름없이 페이스북 타임라인을 빠르게 훑어보는 도중에 저의 눈길을 사로잡은 문구가 한개 있었습니다. 바로!! 제가 팔로우 하고 있는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의 Yann LeCun 교수님의 글이 저의 눈길을 사로 잡았습니다. 일단 이 글의 핵심부터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Yann LeCun 교수님이 이 글에서 제안하신 것은 바로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분야를 STEMP(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Philosophy)로 명명하자 였습니다. STEM이라는 단어가 생소하신 분들도 있을텐데 유럽이나 다른 서구 국가들은 제가 잘모르지만, 미국에서는 이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