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품질경영
- 최적화문제
- 지식재산경영
- 최적화기법
- 공대생의전공공부
- 국어국문학
- 영어영문학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정보시스템
- 공대생의문과공부
- 특허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경제용어
- 컴퓨터공학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통계학
- 산업공학
- 인공지능
- 언어학
- 일일경제공부
- 공대생의경제공부
- 언어적지식
- 자연어처리
- 지적재산권
- 공대생의연구공부
- 통계적품질관리
- 고전방법론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메타휴리스틱
- Today
- Total
목록경제용어 (107)
Fintecuriosity

애그플레이션 (Agflation)은 농업을 뜻하는 '애그리컬쳐(Agriculture)' 와 '인플레이션 (Inflation)'을 합성한 신조 경제 용어로, 국제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면서 일반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애그플레이션은 주로 식량 지급률이 낮은 나라에 큰 피해를 줍니다. 또한 원자재인 곡물 가격은 상승 가공제품 및 유제품의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간단하게 제품 생산의 원가가 올라가면 완제품의 가격 또한 올라가는 원리하다고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위의 애그플레이션 흐름도를 통해서 애그플레이션이 어떠한 양상으로 진행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와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작물의 생산량 및 공급이 감소하고, 경작지가 줄어들면서 곡물가격은 급등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곧 사회 전반..

'마이크로크레디트 (micro-credit)' 을 한글로 표현한 것으로 제도권 금융기관과 거래하기 어려운 저소득층에게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담보나 보증 없이 창업, 운영자금 등을 지원해주는소액대출사업을 의미합니다. 1976년 방글라데시에서 처음 시작된 그라민은행(Grameen Bank)의 무담보 소액대출제도인 ‘마이크로 크레디트(micro credit)’의 일종으로, 금융소외계층이 사회·경제적으로 자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한국 정부의 서민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09년 12월 정부 주도로 시작되었습니다. 기업과 금융기관에서 출연한 기부금과 휴면예금 등의 자금을 재원으로 미소금융재단을 형성하여 운영합니다. 대출금 지원대상은 개인신용등급 7등급 이하의 저소득·저신용 계층에 해당하는 자로, 2인..

튤립 버블(Tulip Bubble)이란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발생한 튤립에 대한 투기적인 사건으로, 역사상 최초의 자본주의적 투기 사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튤립은 1630년대에 수입되기 시작했으며, 당시 네덜란드는 작물산업의 호황과 동인도 회사의 수익으로 인해 유럽에서 가장 높은 1인당 국민소득을 기록하고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부에 대한 개인들의 과시욕이 높아졌고, 그중에서도 가장 인기가 높았던 것이 바로 터키에서 가져온 튤립이었습니다. 당시 네덜란드의 상류층은 튤립을 자신들만의 독특한 징표로 삼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일반 귀족과 평민 사이에서도 모방소비가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튤립을 단기간에 재배를 늘리기 어려운 상품이었기에 결국은 품귀현상이 생겨 투기적인 수요를 불러일으켰습니다. 튤립은 씨앗에..

'72의 법칙 (Rule of 72)'는 복리를 통하여 자산이 2배로 증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어림잡아 계산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y=72/r y = 시간 (Years to Double) r = 이자율 (Interest rate) 위의 예제를 참고하여, 3%의 이자율을 가지고 있을때 자산이 2배가 되려면 72/3 =24 즉,자산이 2배로 증가하는데 있어 24년이 걸립니다. ★ 금융에 관련된 지식을 모두 공부하여 여러분 모두 부자 됬으면 좋겠습니다. ※ 오늘도 쉽고 재밌게 경제 공부를 통해 '72의 법칙 (Rule of 72)'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볼커룰(Volcker rule)은 버락 오바마 정부가 만든 금융기관 규제 정책으로 미국 금융기관의 위험투자를 제한하고 은행 및 비은행 금융회사의 대형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만든 금융기관 규제 정책을 의미합니다. ◎ 아래 링크에 볼커룰(Volcker rule)에 관한 기사를 첨부하였습니다. [속보] 美 증시, 볼커룰 완화에 상승…다우 1.18% 올라 [속보] 美 증시, 볼커룰 완화에 상승…다우 1.18% 올라, 코로나19 확산 주목…텍사스주 경제재개 중단 지수 하락 출발 후 장중 상승 전환 볼커룰 완화에 금융주 2.71% 상승 www.hankyung.com (출처: 한국 경제) 美 연준, 자사주 매입·배당금 지급 제한…OCC는 ‘볼커룰’ 완화 미국의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가 34개 대형 ..

구글세(Google tax)는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야후 등 정보통신기술(ICT)에 기반을 두고 글로벌 사업을 운영하는 다국적 디지털 기업을 대상으로 부과되는 각종 세금을 의미합니다. 뉴스 등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 및 사용료 부과를 위한 저작권 관점의 구글세와 소득을 세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나라에 비용 명목으로 이전하면서 회피하게 되는 법인세를 징수하기 위한 조세 회피 관점의 구글세 등을 총칭합니다. 특히 조세 회피 관점의 구글세는 구글 등 다국적 디지털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벌어들인 막대한 소득을 특허사용료나 이자 등의 명목으로 세율이 낮은 나라로 이전시켜 비용 공제를 함으로써 세금을 절감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 아래 링크에 구글세(Google tax)에 관한 기사..

'아이언플레이션(ironflation)' 철을 의미하는 'iron'과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inflation'을 결합한 말로 자동차, 조선 등 대부분의 산업에서 쓰이는 철강재의 가격이 상승하여 일반 물가도 상승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아래 링크에 아이언플레이션(ironflation)에 관한 기사를 첨부하였습니다. `아이언플레이션` 점점 현실로 - 매일경제 현대제철 수출가격 또 올리고 포스코 내수가격 인상 초읽기 www.mk.co.kr 출처: (매일 경제) ※ 오늘도 쉽고 재밌게 경제 공부를 통해 '아이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파레토 법칙'은 전체 인구의 20%가 소득의 80%를 차지하고 있다는 소득 불평등 법칙을 의미합니다. 파레토 법칙은 '2080 법칙'이라고도 불립니다. 2080 법칙은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80%는 20%의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한다는 주장입니다. 19세기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페도 파레토(Vilfred Pareto)가 개미를 관찰했을 때 개미의 20%만 열심히 일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인간 사회에 적용시켜 2080 법칙을 만들었는데, 이를 파레토 법칙(Pareto principle) 이라고 부릅니다. 경제 양극화로 인해 백화점, 부동산 시장에서 2080 법칙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ex) 백화점 매출의 대부분은 상위의 소수 소비자 집단으로부터 나오는데 백화점은 이 같은..

차이나플레이션(chinaflation)은 중국에서의 임금, 원자재값 등 상승하여 중국에서 만든 제품의 수출단가가 올라가 그 결과 중국에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중국발 인플레이션을 의미합니다. 그동안 값싼 물건을 생산해 전 세계 물가안정에 기여했던 중국에서 저임금시대가 끝나가면서 전세계에 수출하는 물건가격이 올라 각국의 물가를 자극하는 현상입니다. 주로 한국의 경우 원부자재는 물론 최종 소비재까지 중국산 수입품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중국의 물가가 오르면 한국의 물가도 오르는 동조화 현상이 심합니다. ◎ 아래 링크에 차이나플레이션에 관한 기사를 첨부하였습니다. 심상찮은 中물가..`차이나플레이션' 오나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 중국의 물가 상승이 우리나라의..

크림쇼크는 2014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무력충돌 우려로 인해 러시아 증시 지수와 루블화가 폭락하고, 세계 금융 시장이 약세를 보인 현상을 의미합니다. ◎ 아래 링크에 크림쇼크에 관한 기사를 첨부하였습니다. '크림 쇼크' 금융시장 강타…러 루블貨·증시 폭락 '크림 쇼크' 금융시장 강타…러 루블貨·증시 폭락, 기준금리 1.5%P 전격 인상 유럽증시 장중 2~4% 하락 www.hankyung.com (출처: 한국 경제) 러시아 부동산 시장 ‘크림 쇼크’ 크림 사태로 러시아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직격탄을 맞았다. 최근 도네츠크 등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이 러시아 귀속을 선택한 크림을 따라 거센 분리독립 움직임을 보이면서 글로벌 자금의 투�� biz.heraldcorp.com (출처: 헤럴드 경제) ※ 오늘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