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Daily 경제공부]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 본문

경제/일일 경제공부

[Daily 경제공부]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

DataHolic26 2020. 7. 15. 03:53

 

'베블런 효과' 제품의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과시욕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을 뜻합니다.

'베블런 효과'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사회평론가인 베블런(Thorstein Bunde Veblen)이 1899년 출간한 저서 [유한계급론]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하여 자각 없이 행해진다"라고 말한 데서 유래하였습니다.

 

 

소스타인 베블런 - 나무위키

"분석의 끝에서, 현명한 영리행위란 결국 사려깊은 깽판놓기임이 드러난다""All business sagacity reduces itself in the last analysis to judicious use of sabotage." - "평화의 본질과 그 존속기간에 관한 연구"(1917) ��

namu.wiki

 

일반적으로 재화의 가격이 오르면 수요는 감소하며 가격이 오르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을 가진 소비자들이 재화를 구매를 하게 됨으로 수요가 늘어나게 됩니다.

값이 내려가면 누구나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재화로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같은 귀금속이나 고가의 자동차 등은 경기가 좋지 않더라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습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최상류층 고객만을 대상으로 하는 VVIP 마케팅 전략도 등장하였습니다.

보통 베블런 효과는 상류층 계급에서 많이 일어나는 효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베블런 효과는 자본시장에서 특정 소비자에게 포커싱 된 효과가 아닌 다수의 소비자에게도 적용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중산층 소비자가 값비싼 외제차를 구매하여 친구에게 과시를 하는 욕심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외제차의 가격이 원래 시장가격보다 오르더라도 브랜드 인지도와 사회적 인지도를 인식함으로 인해서 구매 결정을 하는데 다소 충동적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전에 제가 올린 포스트 중 '스놉 효과'라는 경제 용어와 관련이 있습니다. 비싼 제품을 구입하여 남들과는 자신을 차별화 시킨다는 특징에서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도 쉽고 재밌게 경제 공부를 통해 '스놉효과'와 연관되는 '베블런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 [Daily 경제공부] 포스트는 제가 작성했던 네이버 블로그의 글을 인용하고 있으며, 특별한 일이 없는 이상 매일 업데이트가 될 예정이며 현재 트랜드에 맞는 예제나 더 쉬운 개념을 추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