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지적재산권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지식재산경영
- 컴퓨터공학
- 통계적품질관리
- 국어국문학
- 메타휴리스틱
- 영어영문학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특허
- 정보시스템
- 통계학
- 경제용어
- 언어적지식
- 산업공학
- 일일경제공부
- 인공지능
- 공대생의문과공부
- 공대생의전공공부
- 공대생의연구공부
- 자연어처리
- 최적화기법
- 고전방법론
- 언어학
- 품질경영
- 공대생의경제공부
- 최적화문제
- Today
- Total
목록산업공학 (186)
Fintecuriosity

이번 글의 내용은 전남대학교 산업공학과 김여근 교수님의 메타휴리스틱 교재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다른 참조한 논문과 자료들은 아래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 포스트는 "메타 휴리스틱" 책의 내용을 참조 및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정보를 추가하여 쓰여졌습니다.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는 점이나 보완할 점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최적화 문제는 크게 연속(continuous)변수와 이산(discrete) 변수를 갖는 문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산변수를 갖는 문제를 조합(combinatorial)문제라고 부릅니다. 연속문제에서는 일반적으로 실수의 집합을 찾고, 조합 문제에서는 유한의 집합, 예로 정수, 순열, 그래프 등을 찾습니다. 또한 연속변수와 이산변수를 동시..

※ 프로젝트 관리는 정보시스템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시스템 분석가가 갖추어야 할 핵심 능력입니다. 프로젝트 관리의 초점은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가 예산과 시간에 대한 제약조건하에서 고객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데 있습니다. 프로젝트 관리자(project manager)는 여러 가지 능력(관리, 리더십, 기술 관리, 갈등 관리, 고객 관계)을 갖춘 시스템 분석가로서 프로젝트의 초기화, 계획, 실행, 종료를 책임지는 사람입니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지속적인 변화와 문제 해결 상황에서 역할을 수행합니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어떤 조직에서는 '한 두번 나타나서는 둘러보고 사라지는 '상급 시스템 분석가이기도 하지만, 또 다른 어떤 조직에서는 프로젝트 업무의 일부를 실제..

※ Pine Valley Furniture(PVF)는 고품질의 원목가구를 제조하고 그것을 미국 내 소매점을 유통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제품라인으로는 주방 가구, 침실 가구를 포함해서 주방 용품들, 스테레오 캐비닛, 벽걸이 등이 있습니다. 1980년대 초, PVF 설립자인 Alex Schuster는 그의 차고에서 맞춤 가구를 제작하고 판매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당시에 그는 송장 및 고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 파일 폴더와 캐비닛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1984년에 사업이 확장되면서 Alex Schuster는 작업장을 새로 임대하고 시간제 경리 직원을 고용해야만 했습니다. PVF 제품라인은 점차 다양해지고 판매량은 2배로 늘었으며 직원은 50명으로 늘기 시작했습니다. 1990년 경, PVF는 세 ..

이번 글의 내용은 '통계적 품질관리 4.0(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지음, 한국표준협회미디어)'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습니다. ⓐ 모분산 (population variance) 모분산은 유한개로 구성된 모집단에서 N개의 측정값이 x1, x2, x3, … , xN 일 때, 확률변수 (Xi) 에서 모평균(μ) 을 뺀 편차 (ei= Xi - μ )의 제곱에 대해 각각 동일한 확률 (1N )을 곱하여 합한 값으로 구합니다. 모분산(σ2 )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모표준편차 (population standard deviation) 모분산의 제곱근으로 구한 값으로 모집단의 산포를 나타내는 값으로 활용되며, 모표준편차(σ2 )로 표현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양희..

※ 재사용에 대한 접근방법들은 각각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조직에 대해 그리고 모든 상황에 대해 재사용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만능의 접근방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성공적인 재사용을 위해서는 재사용이 가능한 자산들이 조화될 수 있는 사회적, 기술적 세계를 이해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재사용을 조직의 목표와 전략에 어떻게 적합시킬 수 있는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재사용은 비록 많은 조직에 가치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모든 개발자들에게는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초보 개발자들은 위험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고 실수에 대해 두려움이 커서, 이미 테스트되고 검증된 기존의 코드를 재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험이 많은 개발자들의 경우에는 다른 사람의 코딩 스킬을 신뢰하기보다는 자신의 ..

※ 조직은 재사용에 대해 네 가지 접근 방법을 취할 수 있습니다. 임시적인 재사용(ad hoc reuse) 접근방법은 적어도 조직의 공식적인 관점에서는 하나의 접근방법이라 할 수 없습니다. 이 접근방법을 적용하면, 사람들은 재사용 가능한 자산들을 나름대로 자유롭게 찾거나 개발할 수 있지만, 자산을 재사용 하는 것에 대해 조직의 보상은 거의 제공하지 않습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임시 재사용의 경우, 회사가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재사용에 대한 또 다른 접근방법으로 촉진되는 재사용(facilitated reuse)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접근방법은 개발자들이 재사용을 요구받기보다는 권장받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접근방법을 사용하는 조직은 재사용 가능한 자산들에 대한 개발..

※ 재사용 대상인 객체 클래스와 컴포넌트들이 원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었던 것들이라는 점과 관련된 법적, 계약 이슈들 또한 해결해야 할 과제임을 의미합니다. 조직의 경영진이 재사용을 전략으로 추진할 때, 조직이 자신의 재사용에 대한 접근 방법을 비즈니스 전략 목표들과 연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직에서 재사용 경험을 많이 하는 만큼 재사용으로 인한 이득도 커지지만, 원활한 재사용을 위해 필요한 비용과 자원의 양도 늘어납니다. 소프트웨어 재사용은 다음과 같은 세 단계를 통해 수행됩니다. 1) 추상화 2) 저장 3) 재정황화 추상화(abstraction)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자산이나 소프트웨어 개발 첫 단계로부터 재사용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부분들을 정하는 것이 있습니다. 저장(storage)은 소..

※ 컴포넌트 기반 개발은 여러 프로그램들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용도의 소프트웨어 부분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객체지향 개발과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컴포넌트들은 객체보다 작은 단위일 수도 있고, 통화 환산과 같이 하나의 비즈니스 기능을 다루는 소프트웨어 부분처럼 클 수도 있습니다. 컴포넌트 기반 개발의 기본 개념은 다양한 수준의 복잡성과 크기를 가진 컴포넌트들을 결합시킴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많은 벤더들은 필요한 컴포넌트들을 불러내어 결합시키기만 하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들을 개발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객체 클래스들에 대한 재사용이 효과적임을 알려주는 근거들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자면 어떤 연구실..

이번 글의 내용은 '통계적 품질관리 4.0(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지음, 한국표준협회미디어)'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습니다. ※ 중심적 경향을 표현하는 값을 기대치라 하지만, 기대치는 차이가 없더라도 흩어져 있는 거리나 모양이 다를 수는 있습니다. 확률의 종합 즉 그래프의 확률 면점은 늘 1로 동일하므로 평균에서 떨어진 거리 즉 밑변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평균치 주위에 존재하는 확률변수의 양은 작아지게 되어 위의 그림과 같이 완전히 다른 모양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므로 모집단의 해석을 위해서는 데이터들이 중심위치에서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표현하는 측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산포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측도가 모표준편차(population standard deviation)입니다. 긴 글 ..

이번 글의 내용은 '통계적 품질관리 4.0(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지음, 한국표준협회미디어)'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습니다. 기하평균(Geometric mean: G) ※ n개의 데이터 x1, x2, x3, ...xn 에 대해, 데이터를 모두 곱한 후 n개의 데이터에 대한 지수승을 역수를 취하여 얻은 값을 기하평균이라 하며 G로 표현됩니다. 기하평균은 기하급수적으로 변화하는 측정치라던가 FMEA와 같은 정성평가 시 평가측도의 차이가 클 때 등의 평균계산에 주로 사용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한국표준협회미디어, "빅데이터 시대 품질관리의 내비게이션 통계적 품질관리 4.0", 27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