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정보시스템 설계] 재사용에 대한 4가지 접근방법 본문

Industrial Engineering/정보시스템 설계

[정보시스템 설계] 재사용에 대한 4가지 접근방법

DataHolic26 2020. 8. 28. 22:43

 

※ 조직은 재사용에 대해 네 가지 접근 방법을 취할 수 있습니다.

 


 

 

임시적인 재사용(ad hoc reuse) 접근방법은 적어도 조직의 공식적인 관점에서는 하나의 접근방법이라 할 수 없습니다. 이 접근방법을 적용하면, 사람들은 재사용 가능한 자산들을 나름대로 자유롭게 찾거나 개발할 수 있지만, 자산을 재사용 하는 것에 대해 조직의 보상은 거의 제공하지 않습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임시 재사용의 경우, 회사가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재사용에 대한 또 다른 접근방법으로 촉진되는 재사용(facilitated reuse)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접근방법은 개발자들이 재사용을 요구받기보다는 권장받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접근방법을 사용하는 조직은 재사용 가능한 자산들에 대한 개발과 공유를 가능케 해주는 도구들과 기법들을 제공하며, 한 명 이상의 직원들에게 재사용 프로그램을 알리고 촉진시키는 전도사 역할을 맡기기도 합니다. 재사용 가능한 자산들에 대한 품질과 활용에 대한 파악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면, 이는 기업이 노력을 더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관리되는 재사용(managed reuse)은 더욱 구조적으로 그리고 더욱 많은 비용을 들여 소프트웨어 재사용을 관리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 방식에서는 사용하는 조직은 재사용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프로세스와 정책을 구축합니다. 또한 이러한 조직은 재사용이 가능한 자산들에 대한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과 절차도 구축합니다. 초점은 존재하고 있는 재사용 가능한 자산을 식별하는 데 있습니다. 이러한 자산은 다양한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데, 그 공급원들로는 운영체제와 같이 묶여 있는 유틸리티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자산들을 판매하는 기업, 오픈소스 커뮤니티, 내부의 저장소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가장 비용이 많이 들고 광범위한 재사용 접근방법은 계획된 재사용(designed reuse)입니다. 설계된 재사용 접근방법은 재사용을 요구하고 그것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 외에도, 자산들을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맞춰 설계할 때 재사용에 대해서도 설계하도록 요구합니다. 이 접근방법은 재사용에 사용될 수도 있는 기존의 자산들을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재사용 가능한 자산들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회사에서는 이러한 접근방법 전반을 감시하고 관리하기 위해 재사용을 담당하는 부서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방법 하에서는 소프트웨어 자산의 90% 정도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재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면 더 나아가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재사용에 대한 접근방법(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자세하게 예와 함께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Essentials of Systems Analysis and Design" 책의 내용을 참조 및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정보를 추가하여 쓰여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