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일일경제공부
- 통계적품질관리
- 경제용어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최적화문제
- 영어영문학
- 최적화기법
- 특허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공대생의연구공부
- 정보시스템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인공지능
- 공대생의전공공부
- 품질경영
- 지식재산경영
- 산업공학
- 고전방법론
- 공대생의경제공부
- 언어적지식
- 통계학
- 자연어처리
- 공대생의문과공부
- 언어학
- 컴퓨터공학
- 지적재산권
- 메타휴리스틱
- 국어국문학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80)
Fintecuriosity

이번 글의 내용은 "한 권으로 끝내는 경제학 명저 50" 책과 '경제배움e' 네이버 포스트'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영국의 경제학자, 유대인계 영국인 상인의 아들로 태어남 ※ 영국 하원의원 역임 1799년 A.스미스의 《국부론 Wealth of Nations》을 읽게 되면서부터 경제학을 배우게 되었다. 지금논쟁( 1809∼1812) 때 잉글랜드은행의 통화정책을 비판함으로써 지금주의자에게 이론적 바탕을 제공하였다. 곡물조례 논쟁(1813∼1815) 때에는 산업자본가 계급의 입장에서 지주적(地主的)인 곡물조례에 반대하는 등 실천적인 면에서 활동하였다. 리카도는 고전학파의 창시자인 스미스 이론을 계승·발전시켜 고전학파의 완성자로 알려져 있다. 1817년 노동..

이번 글의 내용은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신창환 교수님의 "반도 채 몰라도 들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이야기" 강의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반도체의 크기를 줄이는 기술 중점과 반도체 개발회사들이 채널의 길이를 짧게 하여 전자가 이동하는 거리를 줄이는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하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반도체의 역사에 대한 부분을 잠시 언급하는 것을 기점으로 흐름을 이어가겠습니다. 과거에 1958년 시점을 기준을 시점을 돌아가보겠습니다. 당시 texas instruments에 재직 중이시던 잭 킬비 박사(Jack Kilby)님은 반도체 집적회로에 대해서 연구를 하셨는데 당시에 아래와 같은 말씀을 하셨습니다. 게르마늄ge이라고..

이번 글의 내용 중 일부는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남승호 교수님의 "언어와 인간" 강의 내용 일부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언어는 인간들에게 있어서 "고유의 의사소통 수단"이자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계 곳곳에서는 다양한 언어들을 통하여 서로 의사소통을 하며 고유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과연 이 지구 상에서는 몇 가지 언어가 존재할까요? [자료 및 사진 출처] https://www.ethnologue.com/guides/how-many-languages 지구 상에는 약 7117개의 언어가 존재하며 쓰이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도 구글에서 참조한 내용이라 틀릴 수도 있으니 정확한 답을 아시는 분이 있으시면 답글에 출처와 수정사항을 남겨..

이번 글의 내용 중 일부는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신창환 교수님의 "반도 채 몰라도 들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이야기" 강의와 [삼성반도체 이야기]의 포스트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반도체' 란 무엇일까요?? 반도체는 생각보다 우리의 생활에서 밀접하게 접할 수 있고 많은 곳에 쓰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컴퓨터, 스마트폰, 자동차에는 모두 반도체가 탑재(장착)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반도체들이 사용하는 영역들은 일상생활 뿐만 아니라 무궁무진한 곳에 쓰입니다. [반도체/Semiconductor] 의 의미 "반 + 도체 =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 성질" 를 뜻합니다. 도체[Conductor]란, "전기 혹은 열이 잘 흐르..

이번 글의 내용 중 일부는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임홍빈 교수님의 "학교 문법, 표준 문법, 규범 문법의 개념과 정의" 글을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규범문법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바탕으로 심화된 내용으로 포스트가 전개를 하려고 합니다. 언어생활에 있어 규칙을 설정하고 그것을 지키도록 명령하는 문법. 일정한 기준에 따라서 옳고 그름을 규율하기 때문에 비난되기도 하나 청소년이나 외국인에게 국어를 가르치는 경우는 매우 유익하다. 그러나 실용성 때문에 실용 문법(實用文法)이라 하기도 하고, 학교 교육에 소용되므로 학교 문법(學校文法)이라고도 한다. 국어의 문법 연구가 국어 국문(國語國文)의 정리 운동과 결부되어 일어났으므로, 대부분의 국어 문법서는 이 범주에 ..

이번 글의 내용은 "한 권으로 끝내는 경제학 명저 50" 책을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영국의 사회과학자 & 경제학자. 고전파 경제학의 아버지. ※ 글래스고 대학 교수, 총장을 역임 우리가 흔히 경제학 시간에 제일 먼저 접하게 되는 인물은 "경제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애덤 스미스입니다. 하지만 옛날 18세기에는 애덤 스미스는 철학자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그 당시에는 경제학이라는 학문이 아직 발달되지 않았을 뿐더러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애덤 스미스는 원래 글래스고 대학의 철학교수로 알려져 있지만 퇴임 후에는 경제학에서 제일 먼저 배우고 창시라고 불리는 [국부론]을 집필하였습니다. 이 책은 고전파 경제학 뿐만이 아니라 여러 경제사상..

기술 문법은 우리가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말해주지 않습니다. 기술 문법은 당신의 기본적인 언어적 지식을 설명을 합니다. 즉 기술 문법은 말하는 것, 이해하는 것, 소리, 단어, 문장 등등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로부터 사용되는 것입니다. ※ 다음은 기술문법의 사전적 의미입니다. 기술문법은 언어를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describe) 문법을 말하고, 규정문법은 언어를 임의적으로 '규정/처방하는'(prescribe) 문법을 말한다. 기술문법의 목적은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unconsciously) 사용하는 규칙들을 발견하는데(discover rules) 있지만, 규정문법의 목적은 사람들이 의식적으로(consciously) 따라야 하는 규칙들을 만들어내는데(make up rules) 있다. ("영어 작문과 ..

◎ What is Grammar? 먼저 이번 포스트에서는 언어에서 "문법이 무엇인가?"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We use the term "grammar" with a systematic ambiguity. on the one hand, the term refers to the explicit theory constructed by the linguist and proposed as a description of the speaker's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it refers to this competence itself. by N.Chomsky & M.Halle,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위의 인용구는 Noam Ch..

◎ Lingustic Knowledge and Performance 화자가 가지고 있는 언어학적 지식은 그들로 하여금 문장과 구를 결합하거나, 명사에 수식어를 더하여 문장을 더욱 길게 만들수 있도록 기여를 합니다. 당신이 3개, 5개, 혹은 18개의 형용사를 붙일 수도 있기 때문에 형용사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론상으로는 매우 긴 문장들도 가능하지만, 그러나 그렇게 쓰이지 않기 때문이다. 분명히 문장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요구되는 언어적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과 이러한 지식을 활용하는 것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이는 '언어 능력(language competence)'과 '언어 수행(language performance)' 간의 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언어 능력은 '당신이 알고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 Knowledge of Sentences and Nonsentences 이 세상에는 정말 무수하고 많은 문장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많은 문장들을 외우거나 저장하기 위해서는 무한한 용량의 저장소가 필요하게 됩니다. 마치 컴퓨터가 파일들을 저장하는데 있어서 공간이 필요한 것과 똑같은 맥락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뇌는 안타깝게도 유한한(한정적인) 공간을 가지고 있기에 모든 새로운 문장들을 다 머릿 속에 집어넣는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입니다. 이 세상에는 정말 무수하고 많은 문장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많은 문장들을 외우거나 저장하기 위해서는 무한한 용량의 저장소가 필요하게 됩니다. 마치 컴퓨터가 파일들을 저장하는데 있어서 공간이 필요한 것과 똑같은 맥락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