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일일경제공부
- 품질경영
- 인공지능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통계적품질관리
- 자연어처리
- 경제용어
- 메타휴리스틱
- 최적화문제
- 컴퓨터공학
- 정보시스템
- 지적재산권
- 국어국문학
- 고전방법론
- 공대생의경제공부
- 영어영문학
- 언어학
- 최적화기법
- 특허
- 언어적지식
- 산업공학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공대생의문과공부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통계학
- 지식재산경영
- 공대생의전공공부
- 공대생의연구공부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80)
Fintecuriosity

정보시스템 설계 과목을 공부하면서 공부 내용과 인사이트 등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먼저 "정보 시스템 (Information systems)"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간략하고 쉽게 설명을 하면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보들을 활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너무 추상적, 의미론적인 설명이니 예시와 한번 풀어서 설명하겠습니다. 초창기 및 기존의 컴퓨터들은 주로 간단한 연산 및 수치적인 작업, 즉 인간이 수치적 연산하는 것보다 효율적인 업무가 주로 하였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컴퓨터의 성능도 발달하고 데이터들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에 따라서 여러가지 업무들을 컴퓨터를 통해 해결하였는데, 주로 판매, 재고관리 그리고 기업 경영에 도움을 주는 여러 데이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

이번 글의 내용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김양한 명예 교수님의 "음향학의 기초" 강의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는 점이나 보완할 점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Q) 웨이브, 웨이브란 무엇일까요? 어떤 한 지점에서 다른 곳으로 정보를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쉬~하는 소리정보가 이 매개체를 통해 다른 곳으로 이동됩니다. 근본적으로, 웨이브는 공간이나 위치 그리고 시간을 제어합니다. 여기서 이 세 요소는 개별 변수가 아닙니다. 공간과 시간은 연관되어 있습니다. 본 강의에서 공간과 시간이 어떤 연관이 있는지 배울 것입니다. 자, 매우 단순한 공식으로 시작해 봅시다. 아주 쉬운 수학 함수인데, 여러분 모두 잘 알고 ..

이번 글의 내용은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신창환 교수님의 "반도 채 몰라도 들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이야기" 강의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Moore's law(무어의 법칙)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였습니다. 무어의 법칙에서는 24개월 마다 같은 면적에 들어가는 트랜지스터의 총 개수가 2배씩 늘어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트랜지스터가 늘어나면서 반도체의 기술도 빠르게 발전해 나가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반도체의 기초에 대하여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지난 포스트들에서는 반도체의 역사에 대하여 개괄적인 내용들을 다루었습니다. 하지만 정작 제일 중요한 내용인 ‘반도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는 답을 하지 않았습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반도체는 매번 언급..

이번 글의 내용 중 일부는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글로벌학부 영미학과 김형엽 교수님의 "뇌의 이해와 언어학습"과 위키피디아의 내용 일부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언어를 사용하여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뇌가 있기 때문입니다. 너무 추상적이고 단순하게 뇌가 있으니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라고 위에서 언급을 하였는데,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간의 뇌는 위의 그림과 같이 크게 대뇌, 소뇌, 뇌간의 3부분으로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대뇌는 감각과 수의 운동을 담당하며, 더불어서 기억이나 판단 등 정신활동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대뇌의 바깥층은 뉴런의 신경세포체가 모여 회색을 띠고있어 회백질이라 불리며, 안쪽 층은 신경섬유가 모여 있..

이번 글의 내용은 "한 권으로 끝내는 경제학 명저 50" 책을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Part 1_(1편)에 이어서 이번 2편 포스트에서는 아래에 기재 되어있는 내용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리카도의 저서 [경제학 및 과세의 원리] 2) 비교생산비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리카도의 대표 저서 [경제학 및 과세의 원리]를 읽어보면 그는 지대, 금, 이윤, 상품 등에 대한 다양한 과세방법과 스미스의 노동가치설에 대한 비판, 멜서스에 대한 비판 등 여러가지 내용들을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리카도가 주장하는 경제학의 가장 핵심은 '분배의 경제학'입니다. ★ 즉, 생산이 늘어나면 국가의 부가 늘어난다는 것입니다. 분배는 경제학에서 굉장히 중요한 문제이자 주제입니다. 예를 들면 실제로 토..

이번 글의 내용 중 일부는 독일 뮌헨의 루드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Ludwig-Maximilians-Universität München) 영어 언어학과 Hans-Jörg Schmid 교수님의 "Linguistic Theories, Approaches, and Methods" 논문의 내용 일부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ccording to the sociologist Kurt Lewin (1952: 169), “there is nothing more practical than a good theory”. In stark contrast to the common perception of beginners and even advanced students tha..

경영과학은 관리자들이 보다 나은 선택을 하는 것을 돕기 위해 경영 문제를 과학적 접근 방식을 적용하여 해결하는 학문입니다. 이 정의가 함축하듯이, 경영과학은 자연과학, 수학, 통계학, 공학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 도입되어 온 많은 수학적 기법을 포함합니다. 경영과학은 실제 비즈니스에 인정되고 확립된 학문이기도 합니다. 경영과학 기법의 응용은 여러 분야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경영과학을 적용한 여러 회사들의 효율성과 생산성 증대를 통해 신망을 얻어 왔습니다. 다양한 설문 조사들에서 많은 회사들이 경영과학 기법을 사용하고 있고, 이를 통해 좋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오퍼레이션스 리서치(Operational Research), 계량 방법론, 계량 분석, 의사결정 분석이라고도 언급되는 경영과학은 비즈니스 관..

이번 글의 내용은 '파이썬으로 쉽게 풀어쓴 자료구조 (최영규 & 천인국 지음, 생능출판)'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으며 저의 개인적인 인사이트 또한 추가된 점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료구조는 컴퓨터 공학에서 전공 필수 과목 및 알고리즘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으로 배워야 하는 분야입니다. 먼저 자료구조는 숫자와 문자와 같은 단순자료와 여러 자료들을 한꺼번에 보관하는 컨테이너와 같은 복합 자료구조로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1. 선형 자료구조 항목들을 순서적으로 나열하여 저장하는 창고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항목들을 접근하는 방법에 따라 다시 세분화가 되는데, 스택이나 큐, 덱은 항목의 접근이 맨 앞(전단)이나 맨 뒤(후단)으로 제한이 됩니다. 리스트는 가장 자유로운 선형 ..

이번 글의 내용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김양한 명예 교수님의 "동역학 I" 강의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는 점이나 보완할 점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뉴턴 제 2 법칙이 무엇을 이야기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수업에서 교수님이 설명하신 뉴턴 제2의 법칙의 식을 설명해주셨습니다. 위에 우측 (빨강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참조하면 3가지의 힘(Force) 즉, F1, F2, F3가 모두 더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3가지의 힘들이 합쳐서 Mass(물체)를 움직이게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Mass를 어떠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도와주는 요소가 Accerleration(가속도)입니다. 위의 식..

이번 글의 내용은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신창환 교수님의 "반도 채 몰라도 들을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이야기" 강의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반도체의 직접회로 소재를 게르마늄으로 개발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실리콘 소재 기반으로 발전된 역사의 일부분을 소개하였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반도체의 웨이퍼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무어의 법칙(Moore's Law)에 대하여 설명하려고 합니다. 골든 무어는 매 2년 혹은 18 에서 24개월 마다 같은 면적에 들어가는트랜지스터의 총 개수가 2배씩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실제로 지난 반세기 동안 반도체 기술은 무어의 법칙을 따라서 눈부시게 발전해 왔습니다. 그 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