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최적화기법
- 자연어처리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정보시스템
- 일일경제공부
- 국어국문학
- 지적재산권
- 고전방법론
- 컴퓨터공학
- 인공지능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지식재산경영
- 언어학
- 영어영문학
- 경제용어
- 공대생의전공공부
- 언어적지식
- 통계적품질관리
- 공대생의문과공부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품질경영
- 공대생의경제공부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산업공학
- 메타휴리스틱
- 특허
- 공대생의연구공부
- 통계학
- 최적화문제
- Today
- Total
Fintecuriosity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의 보편적 특성 본문
이번 글의 내용 중 일부는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남승호 교수님의 "언어와 인간" 강의 내용 일부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언어는 인간들에게 있어서 "고유의 의사소통 수단"이자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계 곳곳에서는 다양한 언어들을 통하여 서로 의사소통을 하며 고유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과연 이 지구 상에서는 몇 가지 언어가 존재할까요?
[자료 및 사진 출처] https://www.ethnologue.com/guides/how-many-languages
지구 상에는 약 7117개의 언어가 존재하며 쓰이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도 구글에서 참조한 내용이라 틀릴 수도 있으니 정확한 답을 아시는 분이 있으시면 답글에 출처와 수정사항을 남겨주시면 바로 반영하겠습니다.)
언어학은 세계 언어의 다변성(diversity)과 보편성(universality)를 함께 연구합니다. 이러한 언어의 보편성도 있지만 책에 중점적으로 집중하는 주제는 문법에서의 보편성입니다. 문법에서 포함되는 요소들은 음운 체계(Sound system)에서의 음운론(phonlogy), 의미 체계(System of meaning)에서의 의미론(semantic), 단어형성 규칙(the rules of word formation)에서의 형태론, 어형론(morphology)과 문장형성 규칙(the rules of sentence formation)에서의 구문론(syntax)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어휘집(lexicon)가 있습니다. 어휘집은 단어의 발음, 의미, 다른 단어와의 관계 등 단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곳으로 어휘의 저장고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면 더 나아가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언어이론 (Lingustic theory)"에 대해서 자세하게 예와 함께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An Introduction To Language" 책의 내용을 참조, 번역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정보를 추가하여 쓰여졌습니다.
An Introduction to Language
'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2 인간의 뇌 (0) | 2020.07.01 |
---|---|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학 이론 개요 (0) | 2020.06.14 |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규범문법 (0) | 2020.06.06 |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기술문법 (0) | 2020.05.31 |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문법이란 무엇인가? (0) | 2020.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