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기술문법 본문

언어학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기술문법

DataHolic26 2020. 5. 31. 16:19

기술 문법은 우리가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 말해주지 않습니다. 기술 문법은 당신의 기본적인 언어적 지식을 설명을 합니다. 즉 기술 문법은 말하는 것, 이해하는 것, 소리, 단어, 문장 등등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로부터 사용되는 것입니다.   

 

 

출처: 우리말샘

 

※ 다음은 기술문법의 사전적 의미입니다.

 

기술문법은 언어를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describe) 문법을 말하고, 규정문법은 언어를 임의적으로 '규정/처방하는'(prescribe) 문법을 말한다. 기술문법의 목적은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unconsciously) 사용하는 규칙들을 발견하는데(discover rules) 있지만, 규정문법의 목적은 사람들이 의식적으로(consciously) 따라야 하는 규칙들을 만들어내는데(make up rules) 있다

 

("영어 작문과 번역" (기술문법과 규정문법) 권응섭 교수님의 자료에서 참조)

 

 

기술문법에 대하여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나 감기 걸렸어.”의 ‘감기’의 발음에 대해서, “연구개음화에 따라 [강기]로 발음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동화는 인정하지 않는다. [감:기]로 발음하는 것이 맞는다.”라고 기술한다면 이는 학교 문법 차원이고, 연구개음화라는 동화 현상에 따라 발음되기도 한다고 발음 현상을 있는 그대로 기술한다면 이는 기술 문법 차원입니다.
 
<보기>

학교^문법(學校文法) 『언어』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한 실용적인 목적으로 서술한 문법. 일정한 기준에 따라서 옳고 그름을 규율하기 때문에 비판을 받기도 하나 학교 교육이나 외국인에게 국어를 가르치는 데 유용하다.

기술^문법(記述文法) 『언어』 특정한 시기의 한 언어 상태를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문법. ≒기술 문전「1」

출처: 국립국어원

 

기술 문법에서의 규칙은 언어를 올바르게 사용하던지 그렇지 않든 상관없이, 사람들이 실제로 언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기술하는 규칙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더 나아가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규범문법(Prescriptive Grammar)"에 대해서 자세하게 예와 함께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An Introduction To Language" 책의 내용을 참조, 번역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정보를 추가하여 쓰여졌습니다.  

 

An Introduction to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