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산업공학
- 공대생의문과공부
- 통계학
- 경제용어
- 자연어처리
- 품질경영
- 언어적지식
- 언어학
- 정보시스템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메타휴리스틱
- 영어영문학
- 특허
- 공대생의연구공부
- 고전방법론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공대생의전공공부
- 지적재산권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인공지능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지식재산경영
- 공대생의경제공부
- 최적화문제
- 일일경제공부
- 컴퓨터공학
- 통계적품질관리
- 국어국문학
- 최적화기법
- Today
- Total
Fintecuriosity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문법이란 무엇인가? 본문
◎ What is Grammar?
먼저 이번 포스트에서는 언어에서 "문법이 무엇인가?"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We use the term "grammar" with a systematic ambiguity. on the one hand, the term refers to the explicit theory constructed by the linguist and proposed as a description of the speaker's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it refers to this competence itself.
by N.Chomsky & M.Halle,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위의 인용구는 Noam Chomsky 교수님과 M.Halle 교수님이 쓰신 "The Sound Pattern of English"라는 책에서의 내용을 발췌한 것입니다.
핵심을 설명드리자면 우리는 "문법"이라는 용어를 체계적인 애매함을 가지고 사용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 "문법"이라는 용어는 언어학자가 세운 명시적 이론에 대해서 참조되기도 하며 화자의 실력에 대한 설명으로 소개되기도 합니다.
언어에서의 문법은 음(Sound)과 음성체계(Sound pattern)으로 2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가지 에서의 기본적인 단위의 의미는 단어가 있으며 법칙들을 통하여 단어들을 조합하여 원하는 뜻을 전달하고자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언어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문법(언어의 규칙)을 알아야 합니다.
문법을 기술하는 대표적인 2가지 방법!
1. Descriptive Grammar
2. Prescriptive Grammar
그리고 추후 이어지는 포스트에서는 기술문법(Descriptive Grammar)와 규범문법(Prescriptive Grammar)들에 대한 내용을 다루려고 합니다.
그러면 더 나아가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기술문법(Descriptive Grammar)"에 대해서 자세하게 예와 함께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An Introduction To Language" 책의 내용을 참조, 번역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정보를 추가하여 쓰여졌습니다.
An Introduction to Language
'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규범문법 (0) | 2020.06.06 |
---|---|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기술문법 (0) | 2020.05.31 |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적 지식과 성능 (0) | 2020.05.24 |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문장과 비문장의 지식 (0) | 2020.05.16 |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적 지식의 창의성 (0) | 2020.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