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적 지식과 성능 본문

언어학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적 지식과 성능

DataHolic26 2020. 5. 24. 01:23

◎ Lingustic Knowledge and Performance

 

 

 

 

화자가 가지고 있는 언어학적 지식은 그들로 하여금 문장과 구를 결합하거나, 명사에 수식어를 더하여 문장을 더욱 길게 만들수 있도록 기여를 합니다. 당신이 3개, 5개, 혹은 18개의 형용사를 붙일 수도 있기 때문에 형용사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이론상으로는 매우 긴 문장들도 가능하지만, 그러나 그렇게 쓰이지 않기 때문이다. 분명히 문장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요구되는 언어적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과 이러한 지식을 활용하는 것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이는 '언어 능력(language competence)'과 '언어 수행(language performance)' 간의 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언어 능력은 '당신이 알고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언어 수행은 '당신이 그러한 지식또는 능력을 실제 발화 상황에서 어떻게 사용하고 이해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보통은 언어적 지식이라고 하면 의식적인 것과 연관되어 있지 않다. 언어적 시스템은 소리(음), 구조, 의미들, 단어들, 그리고 이 결합들을 포괄하는 언어체계는 학습체계는 학습되어지고 있다는 인식도 주지않은 채 자연스럽게 습득을 하고 있는 것이다. 말하고 이해하고, 문장의 시비를 가릴 수 있는 우리의 무의식적인 언어능력은 언어를 지배하는 갖가지 규칙을 대변한다. 이러한 지식은 복잡한 인지체계를 나타낸다.

 

 


 

 

그러면 더 나아가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문법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자세하게 예와 함께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An Introduction To Language" 책의 내용을 참조, 번역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정보를 추가하여 쓰여졌습니다.  

 

An Introduction to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