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적 지식의 창의성 본문

언어학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적 지식의 창의성

DataHolic26 2020. 5. 9. 18:22

◎ The Creativity of Linguistic Knowledge

 

Creative Linguistics

언어에 대한 지식은 우리가 단어(words)들을 합쳐 구(phrases) 형태를 만들거나,  구(phrases)들을 합쳐 문장(Sentence)의 형태를 만들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우리가 언어를 안다는 것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한번도 들어보지 못한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 내는 것

2) 한번도 들어보지 못한 문장들을 이해하는 것 

 

 

The Linguist Noam Chomsky refers to this ability as part of the creativity aspect of language use.

언어학자인 Noam Chomsky 교수는 이러한 능력을 언어를 쓰는데 있어서 창의적인 측면이라고 말하였습니다.

 


 

※ Knowing a language includes what sentences are appropriate in various situations.

 

이게 무슨 말이냐면 언어를 알고있다는 것은 어떠한 문장들이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쓰이는지도 안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언어를 알면 다양한 상황에 따라 그에 알맞는 문장(단어)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것과도 일맥상통합니다.

 

※ Knowledge of a language, then,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and produce new sentences.

 

언어에 대한 지식, 그리고, 이것은 새로운 문장을 이해하거나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번역된 문장이 조금 뻣뻣하게 안와닿을 수도 있으니 쉽게 한마디로 말하자면, 언어에 대한 지식이 있으면 새로운 문장을 만들 수도 있고, 이해할 수 도 있다라는 이야기 입니다. 

 

결론: 언어에 대한 지식이 있으면 창의성을 가지고 새로운 문장을 만들수도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처음들어본 문장을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사실 이게 이론적으로는 이렇게 설명했는데.. 가능한것인지 우리가 초,중,고때 배운 영어는 독해에는 강하지만 speaking이 안돼니... 아무튼 그래도 우리는 영어에 대한 지식이 있으니 새로운 문장도 작문하죠 ㅎ)


그러면 더 나아가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문장과 비문장의 지식"에 대하여 자세하게 예와 함께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An Introduction To Language" 책의 내용을 참조, 번역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정보를 추가하여 쓰여졌습니다.  

 

An Introduction to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