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단어의 지식 본문

언어학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단어의 지식

DataHolic26 2020. 5. 3. 22:02

◎ Knowledge of Words

영어의 음과 음의 바탕을 아는 것은 우리의 언어지식의 일부일 뿐이다. 언어를 안다는 것은 또한 어떤 음의 연속은 어떤 개념 즉 "의미"를 나타낸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영어화자들은 boy가 어떤 의미인지를 알며 또한 그것은 toy, girl, pterodactyl 과는 다른 것을 뜻한다는 것을 안다. 당신이 한 언어를 알 때, 당신은 그 언어의 단어, 즉 특정한 의미와 관련된 음의 단위를 안다.

 

 형식과 의미의 자의적 관계

The minute I set eyes on an animal I know what it is. I don't have to reflect a moment; the right name comes out instantly. I seem to know just by the shape of the creature and the way it act what animal it is. When the dodo came along he (Adam) thought it was a wildcat. But I saved him. I just spoke up in a quite natural way and said, "Well, I do declare if there isn't the dodo!" 

(Mark Twain, Eve's Dairy)

 

다음 문장은 [톰 소여의 모험]을 쓴 미국 소설가 마크 트웨인의 [이브의 일기장]의 문장 중 하나를 인용하였습니다. 우리가 만약 영어를 모른다면 마크 트웨인이 쓴 이브의 일기장 또한 이해를 하지 못하니 번역또한 할 수 없겠죠. (아니면 구글 번역기나 네이버 파파고를 써서 이해하려고 했겠죠ㅎㅎ.

 

그래도 일단 옛날 관점에서 보자면 그때는 번역기도 없었으니 책에 쓰여진 언어(ex 영어)를 모른다면 내용또한 알지 못했다는 이야기입니다. 

 

한 언어를 알지 못한다면 그 단어 (그리고 문장)를 들어도 거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이 세상의 언어에서, 언어음과 이들이 나타내는 의미와의 관계가 대개는 자의적(arbitrary) 관계이기 때문이다. (언어를 습득할 때에는) house 글자에 해당되는 음은 집이라는 개념을 나타내고, 당신이 프랑스어를 알고 있다면, 똑같은 의미가 maison으로 표시되며, 또 만일 Twi어를 알고 있다면 이것은 odaŋ으로 표시되며, 러시아어로는 dom으로, 스페인어로는 casa로 표시된다는 것을 배워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손은 영어로 hand, 프랑스어로 main, Twi 어로는 nsa, 러시아어로는 ruka로 표시된다.

 다음은 몇몇 언어의 단어들이다. 이들 중 몇 개나 이해할 수 있는가 ?

a. kyinii

b. doakam

c. odun

d. asa

e. toowq

f. bolna

g. watrawan

h. inaminatu

i. yawwa

 이들 단어에 해당되는 언어의 화자들은 이 단어들이 다음의 의미를 가진다는 사실을 안다.

a. a large parasol (가나어의 Twi어)

b. living creature (아메리카 원주민의 Papago어)

c. wood   (터키어)

d. morning (일본어)

e. is seeing  (캘리포니아 인디안어인 Luiseno어)

f. to speak (파키스탄어인 Urdu어); aching (러시어어)

g. reporter (인도네시아어)

h. teacher (베네주엘라 인디언어인 Warao어)

i. right on !  (나이지리아어인 Hausa어)

 

Mark Twain의 풍자시 Eve's Diary 에서 Eve가 한 말에도 불구하고, 이들 각 단어들은 그들이 속해 있는 언어에서만 의미가 주어짐을 알 수 있다. pterodactyl을 ron 이나 blick혹은 kerplunkity라고 불렀어도 상관없었을 것이다.

 Shakespeare의 희곡 Romeo and Juliet에서 Juliet 은 이렇게 말한다.

What's in a name? That which we call a rose

By any other name would smell as sweet.

구어에서 단어의 형태(form: 음)와 의미(meaning: 개념)와의 이 자의적 관계는 농아자가 사용하는 몸짓언어에도 적용된다. 만일 누군가가 당신이 모르는 수화(手話)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본다면, 손짓만을 가지고 메시지를 이해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그림1.1)처럼 중국의 수화를 아는 사람은 미국의 수화를 이해하기가 어렵다고 느낄 것이며 또한 미국 사람은 중국의 수화가 어렵다고 느낄 것이다.

  본래 많은 수화가 무언극과 같은 것으로서 형식과 의미의 관계는 자의적인 것이 아니었다. 무언극에서처럼 수화로서 'eating'을 나타내기 위해 손을 입에 대는 것은 자의적인 것이 아니다. 수화는 단어의 발음처럼 역사적으로 변천하고 그 모방성도 상실된다. 이들 수화는 인습적(conventional)이 되는 것이므로, 손의 모양이나 동작을 안다고 해서 수화에 사용되는 몸짓의 의미를 아는 것은 아니다.

 

("현대영어학개론" 블로그에서 참조)

 


그러면 더 나아가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언어적 지식의 창의성"에 대해여 자세하게 예와 함께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An Introduction To Language" 책의 내용을 참조, 번역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정보를 추가하여 쓰여졌습니다.  

 

An Introduction to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