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적 지식 본문

언어학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적 지식

DataHolic26 2020. 5. 2. 16:46

◎ Lingustic Knowledge

 

저번 포스트에서는 "언어학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습니다.

 

언어학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촘스키(N. Chomsky)는 언어를 연구한다는 것은 인간의 본질(human essence)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언어란 인간에게만 유일하게 존재하는 정신활동이라 답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언어적 지식에 대하여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When you know a language, you can speak and be understood by others who know that language. 
This means you have the capacity to produce sounds that signify certain meanings and to understand or interpret
the sounds produced by others. 

(An lntroductio to Languages / chapter1 p4)

우리가 언어를 안다는 것은, 언어를 통하여 상대방(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이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 문장의 전제조건은 의사소통을 하는 두 사람 모두 같은 언어, 즉 예를 들면 두명 다 같은 언어로 의사소통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의사소통을 하려면 위의 얘기는 당연하고 자명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외국에 나가서 언어가 안 통하였을 때 손짓, 발짓을 섞어서 body language(몸으로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언어화)를 씁니다.


★ 쉽게 요약을 하자면

 

언어를 안다는 것 은?

 

1) 언어를 알고 있는 다른 사람과 말할 수 있고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

2) 이것은 당신이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을 말할 수 있는 능력과, 다른 사람이 말한 것을 이해하거나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점


American Sign Language(ASL) 수화

※ 수화= 손짓과 몸짓, 표정 등 시각적인 방법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의사소통 방식 (Naver 지식사전 참조)

 

물론 예외인 경우도 있습니다. 청각이 불편하신 분들에게는 수화 (sign language)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진행해야 합니다. 물론 대화를 진행하는 2명 혹은 다수가 모두 수화(sign language)를 알고 있다면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언어를 이해한다는 것과 똑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그러면 더 나아가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언어적 지식 중 세부적 지식(음체계의 지식)들을 더욱 자세하게 예와 함께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An Introduction To Language" 책의 내용을 참조, 번역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정보를 추가하여 쓰여졌습니다.  

 

An Introduction to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