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통계학
- 산업공학
- 공대생의경제공부
- 공대생의전공공부
- 정보시스템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최적화문제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언어학
- 일일경제공부
- 국어국문학
- 고전방법론
- 특허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경제용어
- 메타휴리스틱
- 공대생의연구공부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지식재산경영
- 영어영문학
- 컴퓨터공학
- 최적화기법
- 자연어처리
- 언어적지식
- 품질경영
- 공대생의문과공부
- 지적재산권
- 통계적품질관리
- 인공지능
- Today
- Total
Fintecuriosity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란 무엇인가? 본문
언어학을 공부하기 전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 / Language"]는 무엇일까요?
먼저 ["언어 / Language"]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의를 하고 내용을 전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는 유명한 미국 언어학과 Noam Chomsky 교수님이 사람의 언어에 대해서 설명하신 말씀입니다.
여담으로 Noam Chomsky 교수님은 미국에서 가장 권위 있으신 언어학 전문가이시고 MIT 공과대학에서 교수직을 맡고 계십니다.
When we study human language, we are approaching what some might call the "human essence,"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mind that are, so far as we know, unique to man.
- Noam Chomsky, Language and Mind
언어학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촘스키(N. Chomsky)는 언어를 연구한다는 것은 인간의 본질(human essence)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언어란 인간에게만 유일하게 존재하는 정신활동이라 답하였습니다.
("생성통사이론의 변천과 발전 전망"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고희정 교수님의 논문에서 참조)
우리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무수한 일들(예를 들면 자동차 생산, 싸움, 사랑)등을 activities 즉 활동을 하는데 언어를 사용하여 소통을 합니다. 우리가 어떤 무언가를 행하든 간에 언어의 세계(world of language)에서 살고 있는 것입니다. 제가 느낀 바로는 단어들이 모여서 문장이 되고 더 큰 맥락으로 문장들은 언어의 부분집합이기도 합니다.
언어의 소유권이란(The possession of language) 그 어떠한 특성보다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인간이 다른 동물들과 다른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죠. 사람의 언어는 특별하고 독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나라에서도 문화, 신화, 종교, 사람에 따라 언어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이 각각 다른 고유의 언어들은 인간의 삶을 구성하는 힘이기도 합니다.
그러면 더 나아가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언어학의 기본적인 내용들을 더욱 자세하게 예와 함께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An Introduction To Language" 책의 내용을 참조, 번역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정보를 추가하여 쓰여졌습니다.
'언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적 지식의 창의성 (0) | 2020.05.09 |
---|---|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단어의 지식 (0) | 2020.05.03 |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음체계의 지식 (0) | 2020.05.03 |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적 지식 (0) | 2020.05.02 |
[Introduction to Language] 에필로그 (0) | 2020.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