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학 이론 개요 본문

언어학

[Introduction to Language] Ch_01 언어학 이론 개요

DataHolic26 2020. 6. 14. 14:21

 

이번 글의 내용 중 일부는 독일 뮌헨의 루드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Ludwig-Maximilians-Universität München) 영어 언어학과 Hans-Jörg Schmid 교수님의 "Linguistic Theories, Approaches, and Methods" 논문의 내용 일부를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그럼 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ccording to the sociologist Kurt Lewin (1952: 169), “there is nothing more practical than a good theory”. In stark contrast to the common perception of beginners and even advanced students that linguistic theory is basically a nuisance and no more than an end in itself, this quote is in fact an ideal starting-point for the present chapter of this volume, which is designed to give a sketch of major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in English linguistics.

출처: "Linguistic Theories, Approaches, and Methods" 논문의 Introduction

언어학 이론의 의미는 맨 처음에 심오하다는 생각이 직관적으로 듭니다. 그리고 Hans-Jörg Schmid 교수님의 논문에서 언어학 이론에 대한 개요 내요을 읽었을때도 직관적으로 이해를 하기 힘듦니다.

 

그러면 이러한 심오하고 직관적이지 않은 내용을 어떻게 쉽게 이해하고 언어학 이론의 본질에 대해서 알 수 있을지에 대해서 고민을 해보았습니다.

 

논문을 개요를 읽다 보면은 언어학 이론의 종류 및 다른 이론들을 언급하는 문단이 있는 것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문단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Linguistic theories in the fields of grammar
(including phonology, morphology, syntax) and lexicology are formulated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structure of language(s).

• Theories in linguistic semantics aim at scientific accounts of the rather elusive phenomenon of how linguistic elements and structures can convey meanings.

2 • Cognitive-linguistic theories try to model what speakers know about language and how the structure of languages relates to other cognitive abilities like perception and attention allocation.

• Psycholinguistic theories try to model what goes on in the minds of language users during ongoing processing and how languages are acquired by children.

• Theories in linguistic pragmatics model how communication works and how understanding comes about.

• Theories in variational linguistics and sociolinguistics explain patterns of variation (accents, dialects, registers, etc.) and investigate parameters influencing these patterns (age, sex, social background, etc.).

• Theories in historical linguistics try to model why and in which ways languages change and are related to each other historically.

출처: "Linguistic Theories, Approaches, and Methods" 논문의 Introduction

 

제일 윗단에서의 언어학 이론은 이전 포스트들에서 제가 공부한 문법적인 관점의 종류가 있습니다.

 

※ Linguistic theories in the fields of grammar 

(phonology, morphology, syntax) and lexicology are formulated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structure of language(s). 

 

문법적인 관점에서의 언어학 이론은 음운론(phonology), 형태학(morphology), 구문론(syntax), 어휘론(lexicology)이 있습니다.

 

일단 막상 읽어보니 전체적인 언어학적 이론의 개요는 파악하였지만, 질 좋은 연구 진행과 공부내용 정리를 위해서 심화적으로 공부가 필요하다 판단하였습니다. 추후에 다른 선행연구조사 및 전공서적 관련 자료를 더 참조하여 추후 다른 포스트에서 언어학적 이론을 더쉽고 자세하게 다룰 예정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면 더 나아가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2번째 단원으로 넘어가서 "인간의 뇌"에 대해서 자세하게 예와 함께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An Introduction To Language" 책의 내용을 참조, 번역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정보를 추가하여 쓰여졌습니다.  

 

An Introduction to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