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통계적 품질관리] 국내기업의 품질경영 활동 본문

Industrial Engineering/통계적 품질관리

[통계적 품질관리] 국내기업의 품질경영 활동

DataHolic26 2020. 7. 19. 16:13

사진 출처: Slideplayer

 

이번 글의 내용은 '통계적 품질관리 4.0(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지음, 한국표준협회미디어)'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습니다.

 

1994년 이후 우리나라가 ISO 9000 시리즈를 도입하여 품질경영을 추진해 온 목적 중 하나는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기업 환경을 극복하고 산업을 구미열강의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함이였습니다. 즉 산업의 글로벌 스탠더드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는 물론 고객지향적인 경영혁신풍토를 조성하고,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임직원의 품질의식 고취와 능동적 기업문화를 형성하며, 시장친화형 기술혁신과 품질개선 활동을 바탕으로 하는 고객지향형 품질경영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출처: 한국동서발전 품질경영 마스터 플랜

 

하지만 다수의 기업들이 아직 이러한 목적에 미달되는 것은 사실이자 현실입니다. 단적인 예를 들면 많은 취업준비생들이 취업하고 싶은 기업이 부족하여 여러해를 기다리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냉정하게 비판하면 품질경영 활동의 대부분이 문서 중심의 QM 활동으로 인증 취득만을 목적으로 하는 QM활동을 전개하였기 때문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과거 지사의 QM활동 진행 과정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글로벌 기업들이 성장해 간 과정의 벤치마킹을 통해 품질경영 시스템(QMS: Quality Management System)를 끊임없이 유지.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품질경여 7 원칙에 입각한 시장중시 QM 체제의 구축과 운영을 의미합니다. 또한 장기적으로 사회와 환경 즉 미래와의 조화를 통한 존경받는 기업을 추구하는 TQM 활동으로 발전시켜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QMS의 구축은 시장을 지향하는 Top의 리더십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규율과 훈련의 효과적인 전개로서 가능해지므로, 전 임직원의 가치와 신념의 변화를 전제로 하고 이를 통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태도와 행동을 변화시켜가는 기업문화의 창달이 촉구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한국표준협회미디어, "빅데이터 시대 품질관리의 내비게이션 통계적 품질관리 4.0", 5-6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