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통계적 품질관리] 품질경영시스템 본문

Industrial Engineering/통계적 품질관리

[통계적 품질관리] 품질경영시스템

DataHolic26 2020. 7. 24. 01:45

 

이번 글의 내용은 '통계적 품질관리 4.0(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지음, 한국표준협회미디어)'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습니다.

 


KS Q ISO 9000 규격은 품질경영시스템(QMS)을 '품질에 관한 경영시스템의 일부'로 정의하고 있으며, 경영시스템은 '방침과 목표를 수립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상호관련되거나 상호 작용하는 조직의 집합'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QMS는 목표의 설정과 함께 목표 달성을 위한 서브시스템의 구축과 운영이 요구된다는 뜻이며, 이를 위해서는 3가지 서브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합니다.

 

 

1) 품질경영 업무시스템

품질경영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품질목표와 품질방침을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 지원하고, 각 계층별, 기능별 조직, 구조, 절차, 프로세스를 정하여 문서화하는 품질경영시스템을 구축합니다.

 

2) 품질경영 평가시스템

문서화된 절차, 프로세스를 실행하며 관련 근거를 기록하고, 그 실행 결과를 분석, 검토하여 평가합니다. 즉 품질경영의 결과를 정보화하고 평가하는 체계를 갖춥니다.

 

3) 품질경영 정보시스템

품질목표 달성을 위한 지속적인 피드백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유지와 개선활동이 지속되도록 follow up하는 품질정보 운영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위 사진에서 3가지 하위 조직은 QMS를 구성하는 3가지 기본요소입니다. QMS는 권한과 책임의 명확화와 진행 절차를 구축하는 품질경영업무시스템, 수행된 결과를 기준과 비교하는 품질경영평가시스템, 그리고 그 결과를 조직에 피드백하여 시스템의 효율화를 추구하는 품질경영정보시스템의 유기적인 결합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한국표준협회미디어, "빅데이터 시대 품질관리의 내비게이션 통계적 품질관리 4.0", 6-7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