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통계적 품질관리] 품질과 품질경영 본문

Industrial Engineering/통계적 품질관리

[통계적 품질관리] 품질과 품질경영

DataHolic26 2020. 7. 10. 00:53

 

이번 글의 내용은 '통계적 품질관리 4.0(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지음, 한국표준협회미디어)'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으며 저의 개인적인 인사이트 또한 추가된 점을 먼저 밝힙니다.

 

품질경영의 Agenda는 고객만족과 계약준수로 총 2개의 track이 있습니다. 고객만족 agenda는 시장과 타깃 고객 창출이라는 품질경영전략으로 조직의 존망에 관한 문제로 직결이 되며, 계약준수 Agenda는 조직이 고객 및 사회와 묵시적 명시적으로 정한 계약을 실천하는 것이 되겠습니다. 조직(기업)은 계약준수를 목적으로 품질경영체계를 구축하며 통계적 품질관리는 품질경영활동을 최적화하기 위한 수단이 됩니다.

 


 

그러면 기업을 예로 들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어떠한 기업이 지속적으로 생존하고 발전해 나가려면 경쟁 기업들에 대하여 비교우위(Comparative Advantage)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는 정말 직관적으로 누가봐도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기업이 생존하고 성공해서 몸집을 키우려면 다른 기업보다 무언가 우월한 유형 형태의 제품이나 무형 형태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와 똑같습니다. 

 

그러면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품질(Quality)'은 기업이 갖추어야 할 차별화된 경쟁력 중 하나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일 것입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기업들은 경영  활동의 초점을 품질에 맞춘 '품질경영(Quality Management)'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품질경영을 세부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품질경영규격으로 채택하고 있는 KS Q ISO 9000 규격에는 '품질경영'에 대해 '품질에 관한 경영'이라고 추상적으로 정의를 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품질경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품질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품질에 관해서는 따로 포스트를 작성할 예정이니 추후 링크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한국표준협회미디어, "빅데이터 시대 품질관리의 내비게이션 통계적 품질관리 4.0", 2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