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통계적품질관리
- 국어국문학
- 인공지능
- 특허
- 산업공학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지식재산경영
- 최적화기법
- 영어영문학
- 최적화문제
- 통계학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경제용어
- 지적재산권
- 언어적지식
- 컴퓨터공학
- 공대생의문과공부
- 일일경제공부
- 고전방법론
- 공대생의경제공부
- 정보시스템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자연어처리
- 품질경영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공대생의연구공부
- 메타휴리스틱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공대생의전공공부
- 언어학
- Today
- Total
목록일일경제공부 (105)
Fintecuriosity

오늘 경제공부 정리 포스팅은 '풍선효과'로 시작하겠습니다. 여러분은 풍선을 머릿속에 떠올렸을 때 무슨 생각이 드시나요? 아무래도 크게 부풀어 오른 풍선을 생각하며 "아차! 큰 문제가 생겼구나!"라는 생각을 하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풍선효과' 하나의 문제가 해결되는 즉시 다른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마치 집안일 중 빨래나 설거지를 끝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또 다른 집안일이 생기는 과정에 비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풍선의 한곳을 누르면 다른 부분이 튀어나오는 것처럼 하나의 문제가 해결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기는 현상을 뜻합니다.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특정 사안을 금지하면 규제 조치가 통하지 않는 또 다른 경로로 우회하여 유사한 문제를 일으키는 사..

'버핏세'라는 용어를 바로 보면 미국 투자의 귀재라고 불리는 워런 버핏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그럼 바로 '버핏세' 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버핏세' 란 수입이 연간 100만 달러 이상인 부유층의 자본 소득에 적용되는 세금을 뜻합니다. 투자의 귀재이자 미국의 억만장자 워런 버핏은 부유층은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에 오바마 정부는 2012년 2월 배당 소득과 자본 이득을 포함해 연간 총 소득이 100만 달러를 넘는 부유층에 최소한 30%의 세율을 적용한다는 방안을 제안하였습니다. 따라서 버핏세는 돈을 더 많이 버는 사람이 더 많은 정부의 혜택을 받으니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한다는 주장을 기반으로 하여 실행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적 평등을 실현하는..

먼저 '윔블던 효과'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이게 어떻게 경제와 연관돼있을지 궁금하실 것 같습니다. 저 또한 처음에 들었을 때 이게 무슨 말인지 싶었습니다. 스포츠를 좋아하시는 분들이나 영국을 다녀오신 분들은 '윔블던' 이란 단어가 상대적으로 반갑게 들릴 것 같습니다. '윔블던 효과' 란 국내 시장에서 외국 기업이 자국 기업보다 우세한 현상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윔블던 효과의 유래는 위에 있는 테니스 대회에서 파생된 경제용어입니다. 그럼 자세하게 윔블던 효과가 생기게 된 배경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877년부터 영국에서 매해 개최되던 윔블던 대회는 세계 테니스 선수들에게 있어서 가장 권위 있는 테니스 대회 중 하나였습니다. 처음에는 참가자가 영국인으로 한정되었으나, 인기 상승과..

경제뉴스에서 리디노미네이션에 대하여 나오고 개인적으로 궁금해서 포스팅을 통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리디노미네이션'이란 쉽게 화폐의 단위를 변경하는 것을 뜻합니다. 위에 첨부되어있는 사진을 보면 빠르게 이해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더 자세하게 설명을 하면 한 나라에서 통용되는 통화의 액면을 동일한 비율의 낮은 숫자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다만 모든 화폐(지폐, 동전)들의 내재되어있는 실질적 가치는 그대로 유지하며 화폐의 적혀져 있는 숫자 단위(액면가)만 줄어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디노미네이션 = 화폐개혁 ex) 사진과 같이 10000원짜리 지폐가 리디노미네이션(화폐개혁)을 통해 곧 10원으로 바뀔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10000원의 가치는 그대로 유지되며 단지 10원이 그 자리를 대..

앞으로 꾸준히 공부정리 겸 경제용어를 매일 하루에 하나씩 설명하는 포스트를 시작하려 합니다. '모라토리엄' 은 무슨 뜻을 가지고 있을까요? 영어로 써져있어서 어려워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포스트를 통해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모라토리엄' 이란 국가가 외국의 재무 지불을 일정 기간 유예하는 것을 뜻합니다. 라틴어인 'Morari' (지체하다) 라는 뜻에서 파생되었습니다. 쉽게 풀어서 말하면 외국에서 돈을 빌렸는데 갚을 여력이 되지 않아 빛(채무)를 갚는 기간을 지연시키는 것입니다. ex) 예를 들면 한국이 미국에 빚을 졌을 경우 1년 안으로 빛을 상환해야 하는데, 여력이 안되어 1년 안으로 갚을 수 없으니 만기를 연장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모라토리엄은 국가가 자연재해, 전쟁, 정치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