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국어국문학
- 최적화문제
- 컴퓨터공학
- 메타휴리스틱
- 공대생의문과공부
- 정보시스템
- 지식재산경영
- 통계적품질관리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공대생의경제공부
- 공대생의전공공부
- 고전방법론
- 경제용어
- 특허
- 산업공학
- 최적화기법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영어영문학
- 지적재산권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자연어처리
- 언어학
- 일일경제공부
- 인공지능
- 품질경영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통계학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공대생의연구공부
- 언어적지식
- Today
- Total
Fintecuriosity
[Daily 경제공부] 풍선효과(Balloon Effect) 본문
오늘 경제공부 정리 포스팅은 '풍선효과'로 시작하겠습니다.
여러분은 풍선을 머릿속에 떠올렸을 때 무슨 생각이 드시나요?
아무래도 크게 부풀어 오른 풍선을 생각하며 "아차! 큰 문제가 생겼구나!"라는 생각을 하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풍선효과' 하나의 문제가 해결되는 즉시 다른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마치 집안일 중 빨래나 설거지를 끝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또 다른 집안일이 생기는 과정에 비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풍선의 한곳을 누르면 다른 부분이 튀어나오는 것처럼 하나의 문제가 해결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기는 현상을 뜻합니다.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특정 사안을 금지하면 규제 조치가 통하지 않는 또 다른 경로로 우회하여 유사한 문제를 일으키는 사회적 현상 또한 의미하고 있습니다.
또 공권력이나 기타 강제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합법적인 공급을 모두 차단하여도, 수요가 있는 한 어떤 경식으로도 공급이 이루어진다는 경제용어로도 뜻하기도 합니다.
일상생활에서도 풍선효과는 계속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에서도 풍선효과가 일어납니다. 2019년 2월 우리나라의 택시 야간 할증요금이 인상됨으로 인해서 많은 이용객들이 가격에 부담을 느끼고 대신 대중교통인 심야버스를 이용합니다. 아래 사진에 뉴스 기사를 첨부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른 예를 들면 강남의 집값을 잡기 위한 재건축 아파트 규제와 같이 주로 금지 혹은 제한 규정에 대한 별도의 세밀한 방안을 고안하는 대신에 단순하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드는 정책에서 또한 발견될 수 있습니다.
※ 정부에서 가계 대출을 줄이자 서민들이 고금리를 떠안으면서 제2금융권으로 몰리는 현상 또한 풍선효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 [Daily 경제공부] 포스트는 제가 작성했던 네이버 블로그의 글을 인용하고 있으며, 특별한 일이 없는 이상 매일 업데이트가 될 예정이며 현재 트랜드에 맞는 예제나 더 쉬운 개념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경제 > 일일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ily 경제공부] 콜라보노믹스 (Collabonomics) (0) | 2020.07.12 |
---|---|
[Daily 경제공부] 솔로 이코노미 (Solo Economy) (0) | 2020.07.11 |
[Daily 경제공부] 버핏세(Buffett Rule) (0) | 2020.07.08 |
[Daily 경제공부] 윔블던 효과(Wimbledon Effect) (0) | 2020.07.07 |
[Daily 경제공부] 리디노미네이션 (Re denomination) (0) | 2020.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