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고전방법론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영어영문학
- 컴퓨터공학
- 공대생의경제공부
- 공대생의연구공부
- 자연어처리
- 품질경영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경제용어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최적화문제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공대생의전공공부
- 국어국문학
- 산업공학
- 통계적품질관리
- 일일경제공부
- 인공지능
- 메타휴리스틱
- 공대생의문과공부
- 특허
- 지적재산권
- 최적화기법
- 언어학
- 정보시스템
- 통계학
- 지식재산경영
- 언어적지식
- Today
- Total
Fintecuriosity
[Daily 경제공부] 콜라보노믹스 (Collabonomics) 본문
'콜라보노믹스'란 들었을 때 단어 콜라보레이션하고 비슷하다고 생각이 드시지 않았나요?
네 맞습니다! 콜라보레이션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콜라보노믹스는 협력을 통해 나타나는 효과를 통해 어떻게 경제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중심을 두고 있는 용어입니다.
'콜라보노믹스'란 다른 기업과 협조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노리는 협업의 경제학 용어를 뜻합니다.
Collaboration + Economic
협업을 뜻하는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과 이코노믹스(economics)의 합성어로, 협력의 경제학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서 상호 간에 금전적인 이익이나 브랜드 인지도 상승, 고객 네트워크 확장 등 과 같은 부가적인 이득을 얻어내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콜라보노믹스는 2008년 미국 발 경제 위기 때 산업계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였습니다. 이때 기업들은 경기 침체로 인한 위기 극복을 위해 협업과 협력을 선택했습니다.
현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빠르게 많은 최첨단 기술들이 생겨나며 시장에서 치열한 기술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며 서로 협력을 통해 많은 기업들은 위기를 극복하며 발전하는 전략들을 택하고 있습니다.
※ 이번 포스트는 우리 생활에서 익숙한 콜라보노믹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의미또한 콜라보레이션과 일맥상통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S = [Daily 경제공부] 포스트는 제가 작성했던 네이버 블로그의 글을 인용하고 있으며, 특별한 일이 없는 이상 매일 업데이트가 될 예정이며 현재 트랜드에 맞는 예제나 더 쉬운 개념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경제 > 일일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ily 경제공부] 공유경제 (Sharing Economy) (0) | 2020.07.13 |
---|---|
[Daily 경제공부] 립스틱 효과 (Lipstick Effect) (0) | 2020.07.13 |
[Daily 경제공부] 솔로 이코노미 (Solo Economy) (0) | 2020.07.11 |
[Daily 경제공부] 풍선효과(Balloon Effect) (0) | 2020.07.09 |
[Daily 경제공부] 버핏세(Buffett Rule) (0) | 202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