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연어처리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공대생의경제공부
- 공대생의연구공부
- 언어적지식
- 통계적품질관리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고전방법론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언어학
- 공대생의문과공부
- 메타휴리스틱
- 품질경영
- 산업공학
- 최적화문제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정보시스템
- 컴퓨터공학
- 통계학
- 지식재산경영
- 인공지능
- 공대생의전공공부
- 지적재산권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최적화기법
- 경제용어
- 국어국문학
- 특허
- 영어영문학
- 일일경제공부
- Today
- Total
목록공대생의경제공부 (112)
Fintecuriosity

'크리핑 인플레이션 (Creeping inflation)'은 서서히 진행된다는 의미의 'creeping'과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inflation'의 합성어로, 경미하게 물가가 상승하는 완만한 인플레이션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은 크게 4가지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크리핑 인플레이션이 총 4가지 종류의 인플레이션의 범주 안에 속해 있습니다. 수업 자료를 참조한 위의 사진에서는 물가가 지속적으로 0~3% scale로 상승하는 것을 Creeping inflation의 상황이라고 정의 하였습니다. 크리핑 인플레이션은 가볍게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완만한 인플레이션을 의미합니다. 다른 말로는 마일드 인플레이션(mild inflation)이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크리핑 인플레이..

오늘은 조금 색다른 경제 분석 포스트로 금융 위기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IMF 위기(아시아 금융 위기)와 글로벌 금융 위기 비교'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오늘은 정리한 내용으로 포스팅을 하였지만, 추후 자세한 내용은 논문,경제기사, 책등을 통해 보완하여 인사이트를 추가하고 현재 경제 상황과 함께 비교하며 쉽게 설명하는 포스트로 고도화 할 예정입니다. ※ 오늘도 쉽고 재밌게 경제 분석을 통해 'IMF 위기(아시아 금융 위기)와 글로벌 금융 위기 비교'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피구 효과'는 물가 하락으로 현금 구매력이 증가하고 소비가 늘어 경제가 확장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임금의 하락이 고용 증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A.C. 피구(A.C. Pigou)와 J.M. 케인스(J.M. Keynes) 사이에 전개된 논쟁에서 생긴 개념입니다. 피구에 의하면 불황이라 하더라도 물가가 하락하면 경제 주체들이 보유한 화폐의 실질 가치가 증가하여 구매력이 증가하므로 국민 소득이 늘어나고 완전 고용 수준을 달성하게 됩니다. 피구는 총 수요 위축이 일시적으로 경기 불황을 야기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시장경제의 자정 기능을 통해 원상태로 회복한다고 믿은 고전파 경제학의 신봉자였습니다. 특히 그는 세금 인하 등 정부의 적극적 개입 없이는 위축된 총수요가 원상 회복되기 어렵다고 생각한 케인..

'윤리적 소비'는 상품을 구매할 때 상품의 가격이나 품질에 대해 고려할 뿐만이 아니라 상품의 생산과정이 정당하게 이루어져 있는지, 친환경적인 제조환경을 거쳤는지 등과 같은 윤리적인 가치 및 기준을 고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래 링크에 윤리적 소비에 관한 기사를 첨부하였습니다. 소비로 자기 표현하는 MZ세대 대구에서 작곡을 공부하는 김민재(20) 씨는 얼마 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세이브더애니멀’ ‘#기부’라는 해시태그와 함께 기부 팔찌와 반지 사진을 올렸다. 그가 구매한… shindonga.donga.com 카드사 '윤리적 소비' 그린슈머 모셔라 카드업계가 친환경, 윤리적 가치를 지향하는 '그린슈머' 증가에 발맞춰 이들의 소비목적에 부합하기 위한 다양한 소비처 및 상품을 발굴하고 있다. 23..

'옐런 룰(optimal control rule)'은 미국 연장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인 재닛 옐런이 주장하는 기준금리 결정 방식으로, 미국의 고용과 GDP 성장률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된다면 물가 목표치를 일시적으로 벗어나는 것을 허용하는 최적통제준칙을 의미합니다. 재닛 옐런 의장은 통화 정책에 대한 의견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연준이 가진 목표치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최적통제준칙(optimal control rule) 의 장점을 설명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면서 붙여진 명칭입니다. 최적통제준칙은 미국의 고용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치 달성에 도움이 된다면 물가 목표치를 일시적으로 벗어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존 연준의 정책방향이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목표 수치에서..

'그레셤의 법칙'은 가치가 낮은 것이 가치가 높은 것을 몰아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레셤의 법칙은 영국의 금융업자 겸 사업가인 토마스 그레셤이 주장한 이론으로, 흔히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라는 말로 정의가 됩니다. 여기서 위에 언급한 문장에서 '악화'랑 '양화'의 뜻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과거 영국에서는 귀금속인 금화나 은화가 화폐로 유통됐습니다. 그런데 경제가 나빠지면서 화폐에 들어가는 금이나 은의 함량을 줄여서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너 나 할 것 없이 이론 돈(악화)만 사용하고, 금이나 은의 함량이 높은 돈(양화)은 장롱 속에 깊이 숨겨놓고 쓰지 않았습니다. 결국에는 말 그대로 악화가 양화를 내쫓은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요즘에도 이 같은 법칙이 적용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요즈마 펀드(Yozma fund)' 1993년에 이스라엘 정부와 민간이 첨단기술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합동으로 조성한 펀드로, 최근에 한국 정부가 글로벌 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한국형 요즈마 펀드의 조성을 결정한 사례가 있습니다. 요즈마 펀드의 전신은 이스라엘의 벤터캐피털(VC) 요즈마 그룹인데, 기업의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요즈마 코리아 기준) 1993년 설립된 요즈마그룹은 이스라엘 벤처캐피탈시장의 성장을 주도하여, 오늘날 전세계 벤처 펀드의 35%가 이스라엘로 유입되는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그 결과 이스라엘은 미국, 중국 다음으로 전세계에서 나스닥에 가장 많은 기업을 상장한 국가가 되었습니다. 요즈마그룹 코리아는 이스라엘식 인큐베이팅 시스템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국 및 아시아 전역의 ..

경제에서는 시장에서 어떤 거래를 하든지 기준점이 필요합니다. 거래의 기준점이 되는 가격을 금리라고 표현합니다. 금리는 쉽게 표현하면 이자율입니다. 우리가 흔히 은행 가서 예금을 맡길 때는 높은 금리(높은 이자율)이 있는 금융상품을 택하고, 반대로 주택을 사기 위해 대출을 받을 때는 낮은 금리(낮은 이자율)로 빌리려고 하는 것을 생각하며 금리=이자율(interest rate)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 각 나라마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정합니다. 하지만 세계 각 국이 거래 함에 있어서도 기준 금리가 필요한데 각각의 나라가 자국 금리만 내세운다면 거래가 성사되기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래서 세계 각국의 국제 간 금융거래에서의 기준금리로 리보금리가 사용됩니다. '리보(LIBOR) 금..

'실버 달러'는 고령 은퇴 계층의 구매력을 가리키는 용어를 뜻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고령 은퇴자들이 최대 소비 계층으로 떠오르면서 등장한 용어입니다. 2014년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메릴린치는 보고서를 통해 미국과 영국의 전체 소비에서 5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60%와 50%라고 밝히면서, 이들 베이비붐 세대의 구매력을 '실버 달러'라고 표현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인구 구조의 급격한 변화로 고령화 관련 산업의 성장세가 가팔라지고 있는 가운데 현대 경제 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고령화 관련 산업 규모는 2010년 22조 원에서 2018년에는 84조 원으로 급격히 확대될 것이라고 보고하였습니다. 아래 링크에 실버 달러와 연관성..

'에코스패즘'은 경제(Economy)와 발작(Spasm)의 합성어로 국지적 위기가 연쇄반응을 일으켜 발생하게 된 전 세계적인 대규모 경제 위기를 뜻합니다. 에코스패즘이란 단어는 미국의 미래학자이자 작가인 앨빈 토플러(Alvin Toffler)가 집필한 저서 라는 책을 통해 대중들에게 용어가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책이 집필된 1975년이지만 책에 있는 내용이 현실화 된 것은 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전세계를 강타한 금융위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도미노처럼 한꺼번에 금융위기로 인한 부동산 하락, 부실은행 발생으로 파산, 주가하락, 인플레이션 등등 이러한 상황들은 에코스패즘을 현실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단기적성의 위기가 아니라 인플레이션, 불황, 경기침체, 스태그플레이션 등의 악재들이 복합적으로 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