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공대생의경제공부
- 지적재산권
- 영어영문학
- 공대생의연구공부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경제용어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통계학
- 언어적지식
- 정보시스템
- 고전방법론
- 일일경제공부
- 공대생의전공공부
- 언어학
- 메타휴리스틱
- 최적화기법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인공지능
- 국어국문학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자연어처리
- 특허
- 공대생의문과공부
- 품질경영
- 통계적품질관리
- 최적화문제
- 산업공학
- 지식재산경영
- 컴퓨터공학
- Today
- Total
Fintecuriosity
[Daily 경제공부] 그레셤의 법칙(Gresham's Law) 본문
'그레셤의 법칙'은 가치가 낮은 것이 가치가 높은 것을 몰아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레셤의 법칙은 영국의 금융업자 겸 사업가인 토마스 그레셤이 주장한 이론으로, 흔히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라는 말로 정의가 됩니다.
여기서 위에 언급한 문장에서 '악화'랑 '양화'의 뜻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과거 영국에서는 귀금속인 금화나 은화가 화폐로 유통됐습니다. 그런데 경제가 나빠지면서 화폐에 들어가는 금이나 은의 함량을 줄여서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너 나 할 것 없이 이론 돈(악화)만 사용하고, 금이나 은의 함량이 높은 돈(양화)은 장롱 속에 깊이 숨겨놓고 쓰지 않았습니다.
결국에는 말 그대로 악화가 양화를 내쫓은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요즘에도 이 같은 법칙이 적용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빳빳한 신권 지폐보다 너덜너덜한 구권 지폐를 먼저 쓰는 것과 같은 상황입니다. 5만 원권의 사례를 통해서도 그레셤의 법칙을 알 수 있습니다. 2009년 10만 원 수표 발행 비용을 줄이고 거래의 편의를 도모한다는 목적으로 5만 원권 지폐가 발행됐습니다. 일반적으로 은행을 떠난 화폐 중 80%는 은행으로 돌아오지만 5만 원권은 예외입니다. 5만 원권의 환수율은 2014년 25.8%에서 2018년 67.4%로 크게 늘었지만 100%를 육박하는 1만 원권에 비하면 낮은 수치입니다. 환수율에 비해 5만 원권의 수요가 많다 보니 공급이 해마다 늘어 2018년에는 110조 693억 원 중 5만 원권의 비중이 81.28%에 달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많은 5만 원권은 어디로 갔을까?"라는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2011년에는 한 마늘 밭에서 5만 원권만 무려 110억 원의 현금이 발견돼 세상이 들썩였습니다. 이 돈이 불법 도박 수익금으로 밝혀지면서, 5만 원권이 탈세나 뇌물, 범죄에 사용되기 때문에 환수율이 낮다는 소문을 뒷받침했습니다. 범죄나 세금 회피라는 반사회적 요인(악화)이 5만 원권(양화)을 내쫓고 있는 셈입니다. 지금 위에서 말하는 예제는 지하경제에 속합니다. 즉 정부의 규제를 피해 행해지는 경제활동을 뜻합니다. 이는 세금 회피를 피하며 비자금 등 불법으로 자금을 유통하는 것을 큰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위의 예제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고 싶으시면 리디노미네이션(화폐개혁) 포스트를 아래에 첨부하였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Daily 경제공부] 리디노미네이션 (Re denomination)
경제뉴스에서 리디노미네이션에 대하여 나오고 개인적으로 궁금해서 포스팅을 통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리디노미네이션'이란 쉽게 화폐의 단위를 변경하는 것을 뜻합니다. 위에 첨부되어
fintecuriosity-11.tistory.com
그레셤의 법칙은 원래 경제 용어지만, 요즘은 품질이 좋은 제품 대신 저질 제품이 사회에서 흥 생하는 사회현상을 뜻하기도 합니다.
정품 소프트웨어보다 복사한 프로그램이 더 많이 유통되는 현상, 기업 임원이 똑똑한 사람 대신 멍청하고 말 잘 듣는 사람을 더 키워서 똑똑한 사람이 조직을 떠나게 만드는 것, 석유를 주무기로 삼는 막강한 석유 메이저 회사(엑슨 모빌,로 열 더치 셸, 브리티시 페트롤리엄 등) 전 세계의 석유 장악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친환경 자동차의 출현을 달갑게 여기지 않는 거도 그레셤 법칙에 포함되는 상황입니다.
※ 오늘도 쉽고 재밌게 경제 공부를 통해 '그레셤의 법칙'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 > 일일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ily 경제공부] 윤리적 소비 (0) | 2020.07.24 |
---|---|
[Daily 경제공부] 옐런 룰(optimal control rule) (0) | 2020.07.24 |
[Daily 경제공부] 요즈마 펀드 (Yozma fund) (0) | 2020.07.23 |
[Daily 경제공부] 리보 금리(Libor Rate) (0) | 2020.07.23 |
[Daily 경제공부] 실버 달러(Silver Dollar) (0) | 2020.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