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Daily 경제공부] 크리핑 인플레이션 (Creeping inflation) 본문

경제/일일 경제공부

[Daily 경제공부] 크리핑 인플레이션 (Creeping inflation)

DataHolic26 2020. 7. 26. 12:56

 

'크리핑 인플레이션 (Creeping inflation)'은 서서히 진행된다는 의미의 'creeping'과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inflation'의 합성어로, 경미하게 물가가 상승하는 완만한 인플레이션을 의미합니다.

 

 

사진 출처: the balance

 

인플레이션은 크게 4가지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크리핑 인플레이션이 총 4가지 종류의 인플레이션의 범주 안에 속해 있습니다.

 

출처: 학부 수업 PPT

 

수업 자료를 참조한 위의 사진에서는 물가가 지속적으로 0~3% scale로 상승하는 것을 Creeping inflation의 상황이라고 정의 하였습니다.

 

크리핑 인플레이션은 가볍게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완만한 인플레이션을 의미합니다. 다른 말로는 마일드 인플레이션(mild inflation)이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크리핑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전쟁 등의 돌발사태가 없음에도 느린 속도로 물가가 지속적으로 2∼3% 수준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우리가 예상하는 물가 상승은 부정적인 인식에 치우칠 때가 대체적으로 많습니다. 하지만 크리핑 인플레이션의 물가 상승은 오히려 경기를 좋아지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해가 안가시겠지만 아래에 사례를 통하여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실제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 여러 선진국에서 크리핑 인플레이션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특히 1950년대의 미국에서 현저하게 나타난 현상으로 1955년 이후 경기후퇴기에 물가는 내려가지 않고 소폭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물가동향으로 주목을 받게됩니다.

 

사실 그 이전까지 인플레이션은 대체로 전쟁이 벌어지는 도중이나 혹은 전쟁 직후에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물가가 상승하는 사례에서는 물가의 상승속도가 아주 빠른 갤러핑인플레이션(galloping inflation)에 한정되어 있었습니다. 

이러한 원인에 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생산성 상승률을 웃도는 임금인상의 강행에서 비롯된다고 보는 코스트인플레이션설이 주된 원인으로 거론됩니다.

이 밖에도 수요구조의 변화에 공급구조가 미처 따라가지 못하는 데서 발생한다고 보는 수요 인플레이션설 등도 주장되고 있다.

 

 

 

※ 오늘도 쉽고 재밌게 경제 공부를 통해 '크리핑 인플레이션 (Creeping inflation)'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