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통계적 품질관리] 통계적 품질관리의 역사 (1950년 이전) 본문

Industrial Engineering/통계적 품질관리

[통계적 품질관리] 통계적 품질관리의 역사 (1950년 이전)

DataHolic26 2020. 8. 2. 11:51

 

이번 글의 내용은 '통계적 품질관리 4.0(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지음, 한국표준협회미디어)'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습니다.

 


통계적 품질관리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산업사회의 동반자로 함께 발전을 해왔습니다.

 

※ 1950년대 이전

- 1950년대 이전에 추측통계학, 관리도, 샘플링 검사의 개념이 정비되면서 통계적 품질 관리의 영역이 형성되었습니다.

 

① 1920년대 초 영국의 통계학자 피셔 (R. A. Fisher) 등에 의해 소 표본에 의한 품질 정보로 로트를 추론하는 추측통계학이 확립됨으로써, SQC를 적용할 수 있는 토대가 형성되었습니다.

 

② 벨연구소 (Bell telephone laboratory)의 슈하트 (W. A. Shewhart)는 관리도에 대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1931년 '제품 품질의 경제적 관리 (The Economic Control of Quality of Manufacturing Product)라는 저서를 편찬하였습니다. 관리도는 제조공정의 관리에 통계적 수법을 응용한 SPC (Statistical Process Control) 활동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③ 벨연구소의 닷지 (H. F. Dodge)와 로믹 (H.G. Romig)이 통계학을 샘플링 검사에 활용할 것을 연구하여 샘플링 검사 이론을 발표하였고, 1941년 닷지.로믹 샘플링 검사표(Dodge Romig Sampling Inspection Table)를 완성하였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한국표준협회미디어, "빅데이터 시대 품질관리의 내비게이션 통계적 품질관리 4.0", 10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