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품질경영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통계학
- 공대생의문과공부
- 경제용어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산업공학
- 공대생의경제공부
- 국어국문학
- 최적화기법
- 정보시스템
- 특허
- 메타휴리스틱
- 지적재산권
- 자연어처리
- 영어영문학
- 인공지능
- 지식재산경영
- 공대생의연구공부
- 공대생의전공공부
- 언어학
- 컴퓨터공학
- 통계적품질관리
- 최적화문제
- 고전방법론
- 언어적지식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일일경제공부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Today
- Total
목록산업공학 (186)
Fintecuriosity

최근 시스템 개발을 이행하는데 있어서 중점은 시스템 통합입니다. 서로 다른 시스템들을 한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한다던가, 아니면 새로운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이전에 사용하던 시스템들을 마이그레이션을 하거나 아니면 필요한 시스템만 통합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시스템 통합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로 다른 업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함께 작동하는 것을 고려합니다. 또한 시스템 통합은 절차적 언어로 개발된 기존 시스템을 비주얼(visual)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구축된 새로운 시스템과 함께 작동하도록 해주는 것이 목표입니다. 개발자들은 클라이언트(client) / 서버(server)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기 위해서 Visual Basic과 같은 비주얼 프로그래밍 환..

응집(Cohesion)은 하위시스템이 어떤 하나의 기능에 대해 이를 수행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서 위 사진의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는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하나의 기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 대한 이와 같은 간략한 논의는 컴퓨터 기반 정보시스템들과 이것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해 생각할 준비를 보다 잘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많은 원리들은 정보시스템에도 잘 적용이 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면 더 나아가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시스템 통합"에 대해서 자세하게 예와 함께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Essentials of Systems Analysis and Design" 책의 내용을 참조 및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

결합(coupling)은 하위시스템이 서로 의존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하위시스템은 가능한 서로 독립적이어야 합니다. 만일 하나의 시스템이 고장이 난 경우에는, 다른 시스템들이 그 시스템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면 그 시스템들 또한 고장이 나거나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게 될 것입니다. 위 그림의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의 구성 요소들이 매우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결합에 대한 가장 좋은 예는 인쇄회로기판과 칩들로 구성된 통제 시스템입니다. mp3 플레이어의 모든 기능들은 이 기판과 칩들에 의해 그 수행이 가능합니다. 이 회로기판의 한 부분이 제 기능을 못하면 일반적으로는 그 부분에 국한하여 문제점을 별도로 분석하고 고치기보다는 기판 전체를 교체해야 합니다. mp3 플레이어의 ..

이번 글의 내용은 '통계적 품질관리 4.0(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지음, 한국표준협회미디어)'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습니다. KS Q ISO 9000 규격은 품질경영시스템(QMS)을 '품질에 관한 경영시스템의 일부'로 정의하고 있으며, 경영시스템은 '방침과 목표를 수립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상호관련되거나 상호 작용하는 조직의 집합'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QMS는 목표의 설정과 함께 목표 달성을 위한 서브시스템의 구축과 운영이 요구된다는 뜻이며, 이를 위해서는 3가지 서브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합니다. 1) 품질경영 업무시스템 품질경영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품질목표와 품질방침을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 지원하고, 각 계층별, 기능별 조직, 구조, 절차, 프..

모듈화(modularity)는 분해를 통해 직접 발생하는 과정으로, 시스템을 상대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덩어리들, 즉 모듈들로 나누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듈들은 시스템을 보다 단순하게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시스템을 더욱 쉽게 이해하고 재설계 및 재구축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software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서비스를 만드는데 기능을 모듈 단위로 나누어 세분화시킬 수도 있고, 모듈이 main program 혹은 service에서 subcategories라고 할때 그 밑에 기능을 하위 단계로 나누어 줄 수도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면 더 나아가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결합"에 대해서 자세하게 예와 함께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Essential..

이번 글의 내용은 '이공계를 위한 특허의 이해 (1)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편저 ,박문각)'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으며 저의 개인적인 인사이트 또한 추가된 점을 먼저 밝힙니다. ★ 3줄 요약 1) 지식재산은 R&D 기획단계부터 완료 및 사업화 단계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충분히 검토. 2) R&D를 수행한 결과물을 사업화하는 과정에서 선진 경쟁사의 특허공세로 인해 사업화를 중도에 접어야 하거나 과도한 로열티 지급으로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발생. 3) R&D 수행단계는 총 3단계로 기획, 수행, 완료로 구성. Warning(경고): 특허에 대한 내용은 길고 심오하여 지적 호기심이 있으신 분들이 아니면 긴 글 대신에 요약본만 읽으시면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 본문 지식재산은 R&D 기획단계부..

이번 글의 내용은 Mario Klingemann의 트위터 포스트를 번역 및 정리, 그리고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강필성 교수님의 강의를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다른 참조한 논문은 아래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번 학기에 자연어 처리 관련 수업을 수강하면서 이론과 SOTA 모델들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 저의 관심을 끌었던 SOTA 모델은 Open AI에서 공개한 GPT-2 모델이였습니다. 간략하게 GPT-2 모델에 대해서 설명하면 기본적으로 ngram과 같은 언어모델입니다. 앞의 단어들이 주어지면 그 다음에 나올 단어를 예측합니다. 또한 GPT-2는 15억개 파라미터를 가진 대규모 번역기반 언어모델로, 800만개 텍스트의 데이터셋을 통해 학습하였습니다. 임의의 문장을 입력하면 맥락을 고..

이번 글의 내용은 '통계적 품질관리 4.0(양희정, 김광수, 정상윤 지음, 한국표준협회미디어)'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습니다. 1994년 이후 우리나라가 ISO 9000 시리즈를 도입하여 품질경영을 추진해 온 목적 중 하나는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기업 환경을 극복하고 산업을 구미열강의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함이였습니다. 즉 산업의 글로벌 스탠더드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는 물론 고객지향적인 경영혁신풍토를 조성하고,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임직원의 품질의식 고취와 능동적 기업문화를 형성하며, 시장친화형 기술혁신과 품질개선 활동을 바탕으로 하는 고객지향형 품질경영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수의 기업들이 아직 이러한 목적에 미달되는 것은 사실이자..

※ 인지공학 (Cognitive engineering)이란 어떤 학문 분야를 말하는 것일까요? ※ 또 인지과학 (Cognitive Science)과는 어떻게 다른 것일까요? ※ 왜 인지공학이란 분야가 있어야 하며 인지공학이란 학문은 도대체 어디에 쓰이는 것이고 무엇일까요? '인지공학'이란 용어는 D.A. Norman이 1981년 심성모델(mental models)에 대한 간단한 논문에서 인지심리학이 일반 제품 공학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과 필연성을 제안하면서 인지심리학자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1986년 Norman과 Draper가 엮은 사용자 중심 시스템 설계(User Centered System Design)이라는 책에서 광범위한 영역들에 걸쳐 논의되었습니다. ..

여느 때와 다름없이 페이스북 타임라인을 빠르게 훑어보는 도중에 저의 눈길을 사로잡은 문구가 한개 있었습니다. 바로!! 제가 팔로우 하고 있는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의 Yann LeCun 교수님의 글이 저의 눈길을 사로 잡았습니다. 일단 이 글의 핵심부터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Yann LeCun 교수님이 이 글에서 제안하신 것은 바로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분야를 STEMP(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Philosophy)로 명명하자 였습니다. STEM이라는 단어가 생소하신 분들도 있을텐데 유럽이나 다른 서구 국가들은 제가 잘모르지만, 미국에서는 이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