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인공지능
- 특허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영어영문학
- 산업공학
- 통계적품질관리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경제용어
- 메타휴리스틱
- 언어적지식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통계학
- 지식재산경영
- 공대생의경제공부
- 공대생의전공공부
- 언어학
- 품질경영
- 최적화기법
- 공대생의연구공부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국어국문학
- 고전방법론
- 공대생의문과공부
- 일일경제공부
- 자연어처리
- 정보시스템
- 지적재산권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최적화문제
- 컴퓨터공학
- Today
- Total
Fintecuriosity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지식재산의 통합적 경영전략 본문
이번 글의 내용은 '이공계를 위한 특허의 이해 (1)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편저 ,박문각)'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으며 저의 개인적인 인사이트 또한 추가된 점을 먼저 밝힙니다.
★ 3줄 요약
1) 회사에 무형자산의 성질을 지닌 지식재산 포트폴리오는 전략적으로 모니터링을 통해 운용해야 한다.
2) 비즈니스 전략에 구성되어 있는 포트폴리오가 적합한지 파악하기 위해서 장.단기 전략을 통합.
3) 자사의 지식재산 포트폴리오의 경쟁 우위 파악, 가치평가를 통해서 사업부문별로 가치를 산정.
Warning(경고): 특허에 대한 내용은 길고 심오하여 지적 호기심이 있으신 분들이 아니면 긴 글 대신에 요약본만 읽으시면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 본문
지식재산에 대한 통합적 경영전략의 예로는 다우 케미컬(Dow Chemical)의 지식재산 관리 6단계 프로세스가 있습니다.
1) 포트폴리오
회사가 가지고 있는 무형자산으로 특허권, 상표권, 노하우, 작업프로세스, 기타 회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모든 무형자산들이 포함이 됩니다. 기업이 진출하고자 하는 시장 혹은 현재 시장에서 기업이 구축하고 있는 이러한 지식재산 포트폴리오는 전략적 필요에 따라 분할될 수도 있고 결합이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2) 분류
사업 부문별로 활용할 지식재산의 포트폴리오를 선정해서 분류를 진행해야 합니다. 전략적인 가치가 큰 지식재산은 강화.보호하고, 그렇지 않은 지식재산은 포기하거나 만료되기 전에 미리 다른 기업에게 라이센싱을 기부 혹은 매각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각 포트폴리오별 성과측정을 위해 투입량 대비 산출량을 모니터링하고 측정을 해야합니다.
3) 전략
비즈니스 전략에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위에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시험해 보아야 합니다. 포트폴리오가 실용적이고 적합한지를 확실히 알기 위해서는 장.단기 전략을 통합해야 합니다. 핵심적인 내용은 회사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지식재산을 전략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과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지식재산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4) 경쟁기업 평가
경쟁기업의 공격과 방어성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경쟁상황을 면밀하게 분석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회사는 자신이 보유한 지식재산 포트폴리오의 경쟁 우위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전략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식재산 옵션이 무엇인지 알아낼 수 있습니다.
5) 가치평가
지식재산을 평가할 경우 합의를 통해 동일한 가치평가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지식재산의 포트폴리오를 사업부문별로 합의된 지식재산의 가치에 맞추려고 노력을 해야합니다. 이 작업이 상당히 까다로운 이유는 동일한 지식재산의 가치에 대해 연구개발 부문에서는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영업 부문에서는 과소평가를 할 수 있는 경향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해당 지식재산 포트폴리오의 가치가 크게 나타날 가능성과 작게 나타날 가능성을 모두 고려한 접근 방법을 쓰고, 가능성과 위험도의 함수로 설명을 하기도 하면서, 다수가 동의를 할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포트폴리오별로 우선순위와 옵션을 정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6) 획득
이렇게 여러 사업부문 간에 상호 이해되고 측정된 지식재산 포트폴리오의 실용성과 경쟁력을 근거로 회사는 장.단기 경영전략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가치 있는 지식재산을 낮은 가격으로 획득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되는 것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이공계를 위한 특허의 이해 (1)", 18 (2011)
[2] KG, Rivette & Kline, D. (2000). Discovering New Value in Intellectual Property. Harvard Business Review. 2000.
[3] Oriel S.L. (2003) From Inventions Management to Intellectual Capital Management at The Dow Chemical Company: A 100+ Year Journey. In: Holsapple C.W. (eds) Handbook on Knowledge Management. International Handbooks on Information Systems, vol 2. Springer, Berlin, Heidelberg
'Industrial Engineering > 특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R&D에서 지식재산의 중요성 (0) | 2020.07.17 |
---|---|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IP-3 Process (Rivette & Kline) (0) | 2020.07.16 |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지식재산 경영전략의 핵심 (0) | 2020.07.15 |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지식재산 경영의 중요성 (0) | 2020.07.12 |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지식재산 경영의 의의 (0) | 2020.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