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대생의문과공부
- 통계학
- 경제용어
- 지적재산권
- 산업공학
- 자연어처리
- 영어영문학
- 공대생의전공공부
- 최적화문제
- 지식재산경영
- 통계적품질관리
- 일일경제공부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언어적지식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특허
- 공대생의연구공부
- 컴퓨터공학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고전방법론
- 최적화기법
- 품질경영
- 메타휴리스틱
- 인공지능
- 국어국문학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정보시스템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언어학
- 공대생의경제공부
- Today
- Total
Fintecuriosity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지식재산 경영의 의의 본문
이번 글의 내용은 '이공계를 위한 특허의 이해 (1)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편저 ,박문각)'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으며 저의 개인적인 인사이트 또한 추가된 점을 먼저 밝힙니다.
★ 3줄 요약
1) 경영에서 3대 자원도 중요하지만 특허,상표 등 기업의 지식재산은 경쟁의 성패를 좌우 및 새로운 수익원으로 각광.
2) 좋은 상품은 품질이 우수 및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제품. 기업은 품질 제고 및 원가 절감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요구되며, 그러한 기술들을 지식재산권으로 보호하여 상품의 경쟁력을 유지.
3) 그러나 좋은 상품을 위한 기술개발이 경쟁 기업에 비해 뒤처지는 경우 선발 기업에 특허료(Loyalty, 로열티)를 지불하면서 관련 기술을 도입하게 되고 이는 제품 원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여 상품의 경쟁력 상실을 야기.
추가 요약(인용구)
지식경영은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여 이를 전 조직으로 확산시키고 이것을 다시 상품 및 서비스로 구체화하는 프로세스
Warning(경고): 특허에 대한 내용은 길고 심오하여 지적 호기심이 있으신 분들이 아니면 긴 글 대신에 요약본만 읽으시면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 본문
일반적으로 경영의 3대 자원으로 물적.인적.금전적 자원을 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물적자원 외에 기업이 가진 고유의 기술과 경영능력 및 신용, 그리고 기업이 가지고 있는 품격 등 무형의 자원도 중요한 경영자원이 됩니다. 특히 무형자원 중에서 특허, 상표 등을 포함한 기업의 지식재산의 가치 및 활용 능력은 지식재산이 경쟁의 성패를 좌우하고 새로운 수익원으로서 기능하는 현재 시장환경에서 중요한 경영자원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지식경영이란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여 이를 전 조직으로 확산시키고 이것을 다시 상품 및 서비스로 구체화하는 프로세스이다(Nonaka & Takeuchi, 1995).
이는 Peter Drucker(1959)에 의해 Landmark of Tomorrow에서 knowledge worker의 용어가 사용되었고 암묵지와 명시지에 관한 연구를 발전시킨 Nonaka & Takeuchi,(1995)의 The Knowledge Creative Company에서 등장하였다. 지식경영은 지식의 구축, 보급, 사용, 저장, 창조, 공유, 확산, 이전, 획득 등 다양한 형태의 용어와 내용이 포함되고 있다(Demarest, 1997, Ruggles, 1998, Nonaka & Takeuchi, 1995, Dalkir, 2005)
좋은 상품은 품질이 우수하면서도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업은 품질 제고 및 원가 절감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요구되며, 그러한 기술들을 지식재산권으로 보호하여 상품의 경쟁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러나 좋은 상품을 위한 기술개발이 경쟁 기업에 비해 뒤처지는 경우 선발 기업에 특허료(Loyalty, 로열티)를 지불하면서 관련 기술을 도입하게 되고 이는 제품 원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여 상품의 경쟁력 상실을 가져오게 됩니다. 심지어는 시장에서 요구되는 상품을 경쟁 기업의 특허장벽으로 인해 출시하지 못하게 되어 시장에서 철수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기도 합니다. 반대로 기술개발과 지식재산권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면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이공계를 위한 특허의 이해 (1)", 15 (2011)
[2] 윤상호, 추교완. (2014). 지식경영과 신제품개발에 의한 기술혁신역량과 특허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산업경제연구, 27(4), 1653-1683.
[3] Nonaka, I. & Takeuchi, H.(1995),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 How Japanese Companies Create the Dynamics of Innovation, NewYork : NY, Oxford University Press.
[4] Demarest, M.(1997), “Understanding Knowledge Management," Long Range Planning, Vol.30, No.3, 374-384.
[5] Ruggles, R.L.(1998), “The State of the Notion : Knowledge Management in Practice,"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40, No.3, 80-89.
[6] Dalkir, K.(2005), “Knowledge Management in Theory and Preactive,” Elsevier Butterworth Heinemanm.
'Industrial Engineering > 특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지식재산의 통합적 경영전략 (0) | 2020.07.16 |
---|---|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지식재산 경영전략의 핵심 (0) | 2020.07.15 |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지식재산 경영의 중요성 (0) | 2020.07.12 |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국가 간의 지식재산 보호 (0) | 2020.07.08 |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지식재산의 중요성 (0) | 202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