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산업공학
- 공대생의문과공부
- 품질경영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통계적품질관리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정보시스템
- 통계학
- 공대생의전공공부
- 경제용어
- 컴퓨터공학
- 자연어처리
- 지적재산권
- 최적화문제
- 지식재산경영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최적화기법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언어학
- 메타휴리스틱
- 공대생의연구공부
- 인공지능
- 영어영문학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특허
- 일일경제공부
- 언어적지식
- 국어국문학
- 공대생의경제공부
- 고전방법론
- Today
- Total
Fintecuriosity
[Daily 경제공부]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본문
'가계부실위험지수(HDRI)'은 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금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과 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자산비율(DTA; Debt To Asset Ratio)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입니다.
HDRI = DSR(소득 측면, 40%기준) + DTA(자산 측면, 100%기준)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 100%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동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위험가구’로 분류합니다. 위험가구는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고위험가구’,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고DTA가구’,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고DSR가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위험 및 고위험 가구는 가구의 채무상환능력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가구가 당장 채무상환 불이행, 즉 임계상황에 직면한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 지수를 계산할 때 고려한 가계부채 위험 변수는 두 가지 있습니다.
하나는 현재의 부채 수준 위험이며, 다른 하나는 부채 증가 가능성 위험입니다.
현재의 부채 수준 위험을 계산할 때 사용한 변수(지표)는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가계신용) 비율입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가계신용 잔액을 개인순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눠 계산한 값을 사용했습니다.
※ 부채 증가 가능성 위험 관련 변수로는 소비, 이자지급, 소득, 자산 등 4개 분야 지표를 사용했습니다.
소비와 이자지급이 늘거나 소득과 자산이 줄어드는 것이 부채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는 점을 감안한 것입니다. 소비는 민간 소비 증가율, 이자지급은 이자지급을 개인순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이자상환 비율, 소득은 경제성장률, 자산은 주택가격 상승률 지표를 활용했습니다.
가중치는 현재의 부채 수준 위험에 40%, 부채 증가 가능성 위험에 60%를 부여했습니다. 부채 증가 가능성 위험의 4개 지표에는 똑같은 가중치를 뒀습니다. 또한 지표 간 비교와 판독 용이성을 위해 각각 부문별 지표를 평균 0, 표준편차 1로 표준화했습니다. 지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100을 곱했으며, 중간 위험 수준을 100으로 만들기 위해 100을 더했습니다.
※ 오늘도 쉽고 재밌게 경제공부를 통해 '가계부실위험지수(HDRI)'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 > 일일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ily 경제공부] 경기순응성 (0) | 2020.10.01 |
---|---|
[Daily 경제공부] 거시건전성 정책 (0) | 2020.09.30 |
[Daily 경제공부] 규모의 경제 (0) | 2020.09.28 |
[Daily 경제공부]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0) | 2020.09.27 |
[Daily 경제공부] 경제후생지표 [measure of economic welfare, MEW] (0) | 2020.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