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Daily 경제공부] 경기순응성 본문

경제/일일 경제공부

[Daily 경제공부] 경기순응성

DataHolic26 2020. 10. 1. 00:52

 

 

'경기순응성'은 통상 경제주체의 위험인식 및 행위, 금융의 제도 및 규제 등의 효과가 경기변동의 움직임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은행대출의 경우 호경기에는 미래에 대한 낙관적 기대 등으로 여신심사기준도 완화되어 더 크게 증가하여 경기확장에 기여합니다. 반면 불경기에는 심사기준이 강화되어 대출이 큰 폭으로 감소하여 불황을 더욱 부추기게 됩니다. 이러한 은행대출의 경기순응적 대출행태는 신용팽창 또는 위축을 가속시킴으로써 경기변동의 진폭을 더욱 크게 합니다. 따라서 정책당국은 정책을 마련할 경우 경기순응성을 완화할 수 있는 경기대응적 정책수단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실 금융회사가 경기순응적 대출 태도를 보이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경기가 좋으면 대출을 보다 늘려 더 많은 수익을 얻고자 할 것이고 경기가 나쁠 때는 대출을 줄이면서 위험관리를 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떼일 염려가 있는데 대출을 마구잡이식으로 늘리진 않을 것 입니다.

 

 

 

※ 오늘도 쉽고 재밌게 경제공부를 통해 '경기순응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