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지적재산권
- 인공지능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자연어처리
- 언어적지식
- 일일경제공부
- 품질경영
- 경제용어
- 정보시스템
- 공대생의전공공부
- 국어국문학
- 공대생의경제공부
- 공대생의연구공부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최적화문제
- 고전방법론
- 통계학
- 통계적품질관리
- 언어학
- 지식재산경영
- 산업공학
- 영어영문학
- 최적화기법
- 공대생의문과공부
- 메타휴리스틱
- 컴퓨터공학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특허
Archives
- Today
- Total
Fintecuriosity
[Daily 경제공부]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diffusion index) 본문
'경기동향지수'란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방향 만을 파악하는 것으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식별하기 위한 지표로서 경기확산지수(diffusion index)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경기동향지수는 경기변동이 경제의 특정부문으로부터 전체 경제로 확산, 파급되는 과정을 경제부문을 대표하는 각 지표들을 통하여 파악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이때 경제지표 간의 연관관계는 고려하지 않고 변동 방향만을 종합하여 지수로 만듭니다. 경기종합지수와 같이 선행・동행・후행지수로 작성되며, 계절변동과 불규칙 요인이 제거된 전체 계열 중에서 전월에 비해 증가한 지표수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타냅니다.
경제 각 부문의 변동을 나타내는 경제통계지표 가운데 전체 경제의 변동과 밀접한 대응성을 가지고 움직이는 지표를 선정한 다음, 이들 지표를 선행·동행·후행지표 등으로 구분하여 선행지표의 변동으로 경기를 예측하고 동행 및 후행지표의 변동으로 이를 확인하게 됩니다. 예컨대 10개의 대표 계열 중 7개의 지표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면 경기확산지수는 70%로 나타냅니다. DI가 50% 이상이면 경기는 상승(확장)국면, 50% 이하면 하강(수축)국면에 놓여 있음을 나타냅니다
※ 오늘도 쉽고 재밌게 경제공부를 통해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diffusion index)'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 > 일일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ily 경제공부]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0) | 2020.09.27 |
---|---|
[Daily 경제공부] 경제후생지표 [measure of economic welfare, MEW] (0) | 2020.09.26 |
[Daily 경제공부] 국민소득이란 무엇인가? (0) | 2020.09.24 |
[Daily 경제공부] 물가란 무엇인가? (0) | 2020.09.23 |
[Daily 경제공부] 스타벅스 지수 (Starbucks Index) (0) | 2020.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