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Daily 경제공부] 유동성 함정 (Liquidity Trap) 본문

경제/일일 경제공부

[Daily 경제공부] 유동성 함정 (Liquidity Trap)

DataHolic26 2020. 7. 29. 00:58

'유동성 함정' 은 엄청난 양의 현금을 시장에 풀어도 기업의 생산, 투자와 가계의 소비가 늘지 않아 경제가 함정에 빠진 것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유동성 함정 상태에서는 소비와 지출이 없기 때문에 경제 상태가 마치 빙하시대처럼 얼어붙었다고도 비유를 할 수 있습니다. 마치 수도꼭지에서는 돈이 철철 새며 얼어붙은 경제를 되살리려 하지만 경제의 주체(기업, 국민)들이 돈을 움켜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떨어지면 기업은 전보다 싼 이자로 은행에서 돈을 빌릴 수 있기 때문에 투자와 생산을 늘리게 되고, 가게도 저축을 하기보다는 대출을 받아 소비를 늘리게 됩니다.

쉽게 예를 들자면 여러분이 주택이나 아파트를 구매해야 하는데 이자가 비쌀 때 빚을 지는 것보다 이자가 쌀 때 빌리는 것이 더 아파트(실물 자산)에 투자하는 데 있어 더욱 이득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세계 대공황 시절에는 금리를 낮추고 돈을 풀어도 경제주체들이 투자와 소비를 늘리지 않아 경기가 살아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유동성 함정이라 합니다. 유동성 함정이 발생하는 이유는 경제주체들이 미래의 경제 상황을 낙관하지 못해 소비가 얼어 붇고, 기업이 투자를 하지 않기에 생겨나는 일입니다.


 

2019년엔는 6월을 기준으로 갈등이 계속 양상 되는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금리 인하를 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금리 인하를 하여도 유동성 함정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 유동성 함정에 관한 기사를 첨부하였습니다.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에 금리인하 가능성 열어둔 이주열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한은 창립 69주년 기념식에서 창립기념사를 하고 있다.[정병혁 기자]한국은행 창립 69주년인 12일 이주열 총재

www.upinews.kr

(출처: upi news)

 

 

※ 오늘도 쉽고 재밌게 경제 공부를 통해 '유동성 함정 (Liquidity Trap)'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