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국어국문학
- 영어영문학
- 지적재산권
- 고전방법론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품질경영
- 공대생의문과공부
- 산업공학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일일경제공부
- 공대생의경제공부
- 경제용어
- 통계학
- 특허
- 공대생의연구공부
- 최적화문제
- 언어적지식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정보시스템
- 자연어처리
- 언어학
- 통계적품질관리
- 공대생의전공공부
- 지식재산경영
- 최적화기법
- 인공지능
- 메타휴리스틱
- 컴퓨터공학
- Today
- Total
목록인구론 (2)
Fintecuriosity

이번 글의 내용은 "한 권으로 끝내는 경제학 명저 50" 책을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저번 포스트에서는 인구학자이자 경제학자인 토마스 멜서스와 그가 쓴 저서 [인구론]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조금 더 deep하게 [인구론]의 내용과 함축하고 있는 인사이트에 대해서 얘기를 진행해 보려고 합니다. 맬서스는 '인구가 항상 생활물자 수준에 의해 억제된다'라는 사실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2 가지 전제를 달았습니다. 1. 식량은 인간 생존에 필수다. 2. 남녀 간의 성욕은 필연적이며 미래에도 존속한다. 위의 2가지 전제를 통하여 멜서스는 인구와 식량의 증가 차이를 쉽게 설명했습니다. 위의 2 전제는 등비급수적이라는 개념을 규칙으로부터 설명되는 것을 인구론에서 찾아볼 수 있..

이번 글의 내용은 "한 권으로 끝내는 경제학 명저 50" 책을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멜서스는 신기하게도 목사란 직업을 가지고 있었고 인구학자도 같이 겸하고 있었던 경제학자 였습니다. 멜서스는 경제학에서 부정적인 성향을 가진 학자로 정평이 나있었으며, 더불어서 [인구론]이라는 분야로 유명합니다. 결론적으로 중요한 사실은 [인구론]은 인구학에서 파생된 분야이며 경제학에 대한 책은 아닙니다. 경제학적으로 분석을 하는 것을 책에서 볼 수 있지만, 경제학과는 엄연히 다르다고 보면됩니다. 멜서스의 경제학자로서의 행보나 실적을 알고 싶으면 [경제학 원리] 책을 읽으면 됩니다. [경제학 원리] 책에는 맬서스가 경제학자로서 애덤 스미스의 학설을 지지하면서도 자유방임주의나 노동가치에 대해 비판한 내용을 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