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고전방법론
- 국어국문학
- 메타휴리스틱
- 인공지능
- 최적화문제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공대생의전공공부
- 특허
- 자연어처리
- 최적화기법
- 통계적품질관리
- 정보시스템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언어적지식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공대생의연구공부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지식재산경영
- 통계학
- 일일경제공부
- 영어영문학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언어학
- 컴퓨터공학
- 경제용어
- 산업공학
- 공대생의문과공부
- 지적재산권
- 공대생의경제공부
- 품질경영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유동성함정 (1)
Fintecuriosity

'유동성 함정' 은 엄청난 양의 현금을 시장에 풀어도 기업의 생산, 투자와 가계의 소비가 늘지 않아 경제가 함정에 빠진 것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으로 유동성 함정 상태에서는 소비와 지출이 없기 때문에 경제 상태가 마치 빙하시대처럼 얼어붙었다고도 비유를 할 수 있습니다. 마치 수도꼭지에서는 돈이 철철 새며 얼어붙은 경제를 되살리려 하지만 경제의 주체(기업, 국민)들이 돈을 움켜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떨어지면 기업은 전보다 싼 이자로 은행에서 돈을 빌릴 수 있기 때문에 투자와 생산을 늘리게 되고, 가게도 저축을 하기보다는 대출을 받아 소비를 늘리게 됩니다. 쉽게 예를 들자면 여러분이 주택이나 아파트를 구매해야 하는데 이자가 비쌀 때 빚을 지는 것보다 이자가 쌀 때 빌리는 것이 더 아..
경제/일일 경제공부
2020. 7. 29. 0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