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품질경영
- 지식재산경영
- 일일경제공부
- 공대생의연구공부
- 통계학
- 경제용어
- 정보시스템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산업공학
- 영어영문학
- 고전방법론
- 지적재산권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인공지능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공대생의경제공부
- 최적화기법
- 공대생의전공공부
- 컴퓨터공학
- 자연어처리
- 최적화문제
- 국어국문학
- 특허
- 언어학
- 언어적지식
- 통계적품질관리
- 메타휴리스틱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공대생의문과공부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80)
Fintecuriosity

◎ Knowledge of Sentences and Nonsentences 이 세상에는 정말 무수하고 많은 문장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많은 문장들을 외우거나 저장하기 위해서는 무한한 용량의 저장소가 필요하게 됩니다. 마치 컴퓨터가 파일들을 저장하는데 있어서 공간이 필요한 것과 똑같은 맥락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뇌는 안타깝게도 유한한(한정적인) 공간을 가지고 있기에 모든 새로운 문장들을 다 머릿 속에 집어넣는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입니다. 이 세상에는 정말 무수하고 많은 문장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많은 문장들을 외우거나 저장하기 위해서는 무한한 용량의 저장소가 필요하게 됩니다. 마치 컴퓨터가 파일들을 저장하는데 있어서 공간이 필요한 것과 똑같은 맥락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 ..

◎ The Creativity of Linguistic Knowledge 언어에 대한 지식은 우리가 단어(words)들을 합쳐 구(phrases) 형태를 만들거나, 구(phrases)들을 합쳐 문장(Sentence)의 형태를 만들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우리가 언어를 안다는 것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한번도 들어보지 못한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 내는 것 2) 한번도 들어보지 못한 문장들을 이해하는 것 The Linguist Noam Chomsky refers to this ability as part of the creativity aspect of language use. 언어학자인 Noam Chomsky 교수는 이러한 능력을 언어를 쓰는데 있어서 창의적인 측면이라고 말하였습니다. ※..

◎ Knowledge of Words 영어의 음과 음의 바탕을 아는 것은 우리의 언어지식의 일부일 뿐이다. 언어를 안다는 것은 또한 어떤 음의 연속은 어떤 개념 즉 "의미"를 나타낸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영어화자들은 boy가 어떤 의미인지를 알며 또한 그것은 toy, girl, pterodactyl 과는 다른 것을 뜻한다는 것을 안다. 당신이 한 언어를 알 때, 당신은 그 언어의 단어, 즉 특정한 의미와 관련된 음의 단위를 안다. 형식과 의미의 자의적 관계 The minute I set eyes on an animal I know what it is. I don't have to reflect a moment; the right name comes out instantly. I seem to kn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