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정보시스템 설계] 애자일 방법론 (Agile methodologies) 본문

Industrial Engineering/정보시스템 설계

[정보시스템 설계] 애자일 방법론 (Agile methodologies)

DataHolic26 2020. 8. 9. 16:29

 

※ 애자일 방법론은 적응방법론들, 역할보다는 사람, 자기 적응적 개발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추는 최신 시스템 개발 접근방법입니다.

 


 

실제로 과거 수년간 시스템 분석 및 설계에 대해 다양한 접근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접근방법들로는 eXtreme Programming, Crystal 방법론 계열, Adaptive Software Development, Scrum, Feature Driven Development 등을 들 수 있습니다. 2001년 2월, 이러한 방법론들에 대한 다수의 지지자들이 미국의 Utah 주에서 만나, 그들의 다양한 접근방법에 깔려 있는 다수의 기본적인 원칙들에 대해 합의를 한 바가 있습니다.

 

이 합의는 소위 "애자일 성명 (The Agile Manifesto)"이라는 문건으로 작성 되었습니다. 이 성명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한 것들과 같은 애자일 방법론(agile methodologies)은 세 가지 중요한 공통된 원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예단적인(predictive) 방법론이 아니라 적응적(adaptive) 방법론에 초점을 맞춤

 

2) 역할보다는 사람에 초점을 맞춤

 

3) 자기 적응적(self-adaptive) 프로세스입니다.

 


 

예단적인 방법론을 채택하는 것은 프로세스나 제품이 예측 가능한 경우 공학 기반의 방법론이 최선이었다는 경험에 근거한 것입니다. 그러나 특히 오늘날의 혼란스러운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마치 흔들거리는 교량만큼이나 소프트웨어에 대해 예측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보다 적응력 높은 방법론들이 필요한데, 이러한 능력을 갖춘 방법론들이 바로 애자일 방법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역할이 아니라 사람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애자일 방법론의 관점은 사람은 언제든지 교체될 수 있는 존재이므로 역할만이 중요하다고 보는 공학 기반의 기법에 대한 비판적 시간을 보여줍니다. 애자일 접근방법에서 사람은 단지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개발 프로젝트에 관한 고유한 재능을 가진 존재로 여겨진다는 것입니다. 

 

결국, 애자일 방법론 자체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기 적응적인 개발 프로세스를 촉진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론들을 활용하는 개발팀도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와 수행 정황에 맞도록 이러한 방법론들을 적응적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모든 프로젝트에 대해서 항상 개발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하나의 획일적인 방법론은 존재할 수 없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면 더 나아가서 다음 포스트에서는 "시스템 개발 환경 요점정리"에 대해서 자세하게 예와 함께 기록하려고 합니다. 

 

이 포스트는 "Essentials of Systems Analysis and Design" 책의 내용을 참조 및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정보를 추가하여 쓰여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