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메타 휴리스틱] 메타 휴리스틱의 단점 본문

Industrial Engineering/메타휴리스틱

[메타 휴리스틱] 메타 휴리스틱의 단점

DataHolic26 2020. 9. 4. 18:47

 

 

이번 글의 내용은 전남대학교 산업공학과 김여근 교수님의 메타휴리스틱 교재 정리 및 참조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다른 참조한 논문과 자료들은 아래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는 점이나 보완할 점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메타휴리스틱스(metaheuristics)는 강점도 가지고 있지만 약점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효율적인 메타휴리스틱의 설계를 위해서는 여러 전략을 필요로 합니다. 이들 전략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메타휴리스틱의 구조와 적용 문제의 해공간과 해의 특징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또한 각 메타휴리스틱에는 제어 파라미터가 존재합니다. 메타휴리스틱스의 성능은 대부분 이들 파라미터에 민감하므로, 구현할 때 이를 조심스럽게 조정해야 합니다.

 

또한 메타휴리스틱스는 전역최적해로 강한 수렴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지역최적에 빠지면 수렴 속도가 느려지고 긴 계산시간이 소요되기도 합니다. 이 또한 메타휴리스틱스의 단점입니다. 특정 메타휴리스틱은 최적해로 이론적으로 입증되었으나 이는 무수한 반복(계산소요시간이 무한대)이라는 조건에서 가능합니다. 현실 적용에서 이러한 수렴성은 그 의미가 크지 않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포스트는 "메타 휴리스틱" 책의 내용을 참조 및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정보를 추가하여 쓰여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