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확률 기반의 자연어 처리] 언어능력-언어수행 이분법 본문

언어학/확률기반 자연어 처리

[확률 기반의 자연어 처리] 언어능력-언어수행 이분법

DataHolic26 2020. 8. 2. 19:34

 

이번 글의 내용은 이강혁 교수님의 "문법을 넘어서, 확률 기반의 자연어 처리" 저서를 참조 하였음을 먼저 밝힙니다. (다른 참조한 논문과 자료들은 아래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는 점이나 보완할 점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대 언어이론의 가장 근본적인 개념 중 하나는 언어능력 & 언어수행 (competence-performance) 이분법입니다. 

 

언어능력 모델은 개인의 언어지식의 기술을 목표로 하는 반면 언어수행 모델은 구체적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는 자연어 문장의 실제적 생성과 인식을 기술함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Chomsky 1965). 이러한 이분법은 모든 형식적 언어이론의 방법론적인 패러다임이 되어왔으며, 언어학의 일차적인 목표는 언어능력(competence)에 대한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었습니다.

 

언어이론은 논리학과 수학의 형식언어들을 패러다임의 예제들로 채택해왔습니다. 언어는 일관된 형식적 규칙체계, '언어능력문법(competence grammar)'에 의해 기술된 문장/의미 쌍의 무한집합으로 간주됩니다. 그리고 인간의 마음이 새로운 발화를 생성하고 이해함에 있어 실제로 이러한 규칙체계를 채용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언어이론은 언어능력 문법만으로는 인간언어의 모든 측면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 즉 개인의 언어수행은 언어학의 핵심영역에 속하지 않는 여러 다른 정신적 속성들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지해야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K. Lee. (2003). 문법을 넘어서, 확률 기반의 자연어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