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확률기반자연어처리
- 공대생의언어학공부
- 공대생의전공공부
- 최적화기법
- 고전방법론
- 정보시스템
- 언어적지식
- 컴퓨터공학
- 통계학
- 공대생의연구공부
- 공대생의산업공학공부
- 특허
- 언어학
- 공대생의문과공부
- 정보시스템설계및분석
- 지식재산경영
- 지적재산권
- 산업공학
- 인공지능
- 영어영문학
- 경제용어
- 품질경영
- 국어국문학
- 최적화문제
- 공대생의경제공부
- 통계적품질관리
- 일일경제공부
- 자연어처리
- 이공계를위한특허이해
- 메타휴리스틱
- Today
- Total
Fintecuriosity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R&D 완료단계 본문
이번 글의 내용은 '이공계를 위한 특허의 이해 (1)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편저 ,박문각)'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으며 저의 개인적인 인사이트 또한 추가된 점을 먼저 밝힙니다.
★ 3줄 요약
1) R&D 완료 시점에서는 R&D 결과물을 이용하여 사업화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
2) 특허침해가 문제되는 특허에 대해서는 특허 무효가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하여 무효 증거를 확보
3) 기존 보유 특허와 R&D 결과물의 권리화 현황을 검토 후 R&D 결과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보강 특허의 확보
Warning(경고): 특허에 대한 내용은 길고 심오하여 지적 호기심이 있으신 분들이 아니면 긴 글 대신에 요약본만 읽으시면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 본문
R&D 완료 시점에서는 R&D 결과물을 이용하여 사업화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한편, 사업방향에 부합하는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을 위한 특허보강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R&D 결과물의 권리화 여부도 재확인하는 것이 요구됩니다.
특허정보를 조사한 결과, 특허침해가 문제되는 특허에 대해서는 특허 무효가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하여 무효 증거를 확보하거나 특허무효심판 등을 통한 조치를 취합니다. 특허무효가 불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권리의 매입이나 라이센싱이 고려됩니다. 한편, 기존 보유 특허와 R&D 결과물의 권리화 현황을 검토하여 R&D 결과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보강 특허의 확보도 고려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이공계를 위한 특허의 이해 (1)", 24 (2011)
'Industrial Engineering > 특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특허정보의 분석기 (0) | 2020.07.27 |
---|---|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특허맵 (0) | 2020.07.27 |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R&D 기획단계 (0) | 2020.07.26 |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R&D 수행단계별 검토 및 활용 (0) | 2020.07.23 |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R&D에서의 지식재산의 활용 (0) | 2020.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