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Fintecuriosity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R&D 완료단계 본문

Industrial Engineering/특허

[이공계를 위한 특허 이해] R&D 완료단계

DataHolic26 2020. 7. 27. 20:29

사진 출처: 한국 특허전략 개발원

 

이번 글의 내용은 '이공계를 위한 특허의 이해 (1)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편저 ,박문각)'의 내용을 참조 및 정리 하였으며 저의 개인적인 인사이트 또한 추가된 점을 먼저 밝힙니다.

 


★ 3줄 요약

1) R&D 완료 시점에서는 R&D 결과물을 이용하여 사업화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

 

2) 특허침해가 문제되는 특허에 대해서는 특허 무효가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하여 무효 증거를 확보

 

3) 기존 보유 특허와 R&D 결과물의 권리화 현황을 검토 후 R&D 결과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보강 특허의 확보

 

 

Warning(경고): 특허에 대한 내용은 길고 심오하여 지적 호기심이 있으신 분들이 아니면 긴 글 대신에 요약본만 읽으시면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 본문

R&D 완료 시점에서는 R&D 결과물을 이용하여 사업화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한편, 사업방향에 부합하는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을 위한 특허보강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R&D 결과물의 권리화 여부도 재확인하는 것이 요구됩니다.

 

특허정보를 조사한 결과, 특허침해가 문제되는 특허에 대해서는 특허 무효가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하여 무효 증거를 확보하거나 특허무효심판 등을 통한 조치를 취합니다. 특허무효가 불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권리의 매입이나 라이센싱이 고려됩니다. 한편, 기존 보유 특허와 R&D 결과물의 권리화 현황을 검토하여 R&D 결과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보강 특허의 확보도 고려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ferences

[1]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이공계를 위한 특허의 이해 (1)", 24 (2011)